‘조합원 30명’ 새노조… KT 판 흔들까

마이데일리
김미영 KT 새노조 위원장(왼쪽 2번째)이 27일 국회에서 열린 김영섭 KT 사장 즉각 퇴진 촉구 기자회견에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훈기 의원실.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조합원 30명에 불과한 신생 노조가 1만명에 달하는 제1노조와 회사인 KT를 송두리째 흔들고 있다.

대규모 구조조정과 김영섭 현 대표이사 사장에 대한 낙하산 인사를 문제 삼으며 탄생한 ‘KT 새노조’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여당인 민주당은 물론 시민사회단체와 연대해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그동안 상황을 예의주시하던 1만명 규모의 제1노조마저 성명과 법적 대응을 꺼내들며 맞대응에 나서고 있다.

소수노조의 파장이 어디까지 이어질지, KT의 노노갈등은 이제 단순한 사내 분쟁을 넘어 공공성과 경영 신뢰를 뒤흔드는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31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KT 제2노조인 ‘새노조’는 2010년대 중반 KT의 대규모 구조조정과 낙하산 인사 문제를 비판하며 출범했다. 현재 조합원 수는 30여명에 불과하지만, 꾸준히 구조조정 반대와 경영 투명성 문제를 제기하며 존재감을 쌓아왔다.

최근 국회 기자회견에서는 “지난해 10월 구조조정 이후 KT에서 5명이 잇따라 숨졌다”며 “강압적 구조조정이 빚어낸 사회적 참사”라고 주장하며 반향을 일으켰다.

김영섭 사장 퇴진과 ‘토탈영업TF’ 해체, 고용노동부 특별근로감독을 촉구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1만1000명을 대표하는 교섭대표노조인 1노조는 초기에는 새노조의 활동을 크게 의식하지 않았다. 그러나 새노조의 문제 제기가 정치권과 시민사회로 확산되자 대응 기조를 바꿨다.

최근 성명을 통해 1노조는 “허위사실 유포와 근거 없는 선전선동을 즉각 중단하라”며 “사망 사건을 정치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조합원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라고 반박했다. 법적 조치 가능성까지 공개적으로 거론하며 새노조를 압박하고 나선 것이다.

작년 10월 KT 노조원들이 광화문 KT사옥 앞에서 노조 집회를 하고 있다. /마이데일리 DB

임금단체협상 과정에서도 노노갈등은 드러났다. 1노조는 기본급 3% 인상과 일시금 300만원 지급을 담은 합의를 도출했고, 조합원 투표에서 90% 넘는 찬성률로 가결시켰다.

하지만 새노조는 이를 “초라한 합의”라고 평가절하했다. 같은 시기 김영섭 사장의 보수가 전년 대비 2배 이상 오른 사실이 알려지면서, 임금 격차 논란은 더 증폭됐다.

LG그룹 출신인 김 대표에 대한 윤석열 정부 낙하산 논란 꼬리표는 여전히 끊기지 않고 있다.

김 대표는 2014년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CFO) 부사장과 2015년 LG CNS 대표를 지낸 ‘재무통’이자 구조조정 전문가로 평가받아 취임했지만 윤석열 정부시절 이관섭 대통령실 국정기획수석의 친형과 경북대 사대부고 동문으로 알려져 ‘윤정부 낙하산 인사’라는 비판이 나왔다.

KT 사태가 주목받는 이유는 국민기업으로서의 성격 때문이다. 기간통신망을 책임지는 KT에서 발생한 노조 갈등은 단순한 내부 분쟁을 넘어 통신공공성 논란으로 확산되고 있다.

새노조는 이를 정치적 의제로 끌어올렸고, 1노조는 조합원의 안정성과 교섭 실리를 앞세우며 방어에 나서는 구도가 고착화되는 모습이다.

여기에 정치권 개입과 법적 다툼 가능성까지 불거지면서 노노갈등은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IT업계 관계자는 “KT가 벼랑 끝에 몰린 상황에서 노노 갈등이 격화되면 통신공공성은 물론 서비스 품질과 투자 여력까지 흔들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조합원 30명’ 새노조… KT 판 흔들까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