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제이에스티나가 자사주 처분을 단행한 가운데, 이를 향해 곱지 않은 시선이 나오고 있다. 정부·여당 차원의 ‘자사주 소각 의무화’ 공약 이행이 본격 추진되기 시작한 시점인데다, 자사주 처분 목적에 물음표가 붙기 때문이다. 주주가치 제고가 강조되는 시대흐름을 역행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 자사주 소각 의무화 본격 추진 속 자사주 처분
제이에스티나는 지난달 26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자사주 처분을 결정하고 이를 공시했다. 보유 중이던 자사주 217만9,271주(지분 기준 13.2%) 중 4.9%에 해당하는 82만주를 처분키로 한 것이다. 처분대상은 얼터너티브자산운용 등이다.
자사주 처분 계획은 곧장 실행에 옮겨졌다. 처분예정기간은 지난달 27일부터 오는 26일까지였는데, 지난달 27일에 처분이 완료됐다. 처분단가는 주당 3,916원으로, 총 32억원 규모다.
이 같은 자사주 처분은 시기적으로 더욱 눈길을 끈다. 최근 정부·여당은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본격 추진하고 나선 상태다. 1·2차 상법 개정을 완료한 데 이어 이재명 대통령의 주요 공약 중 하나였던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다음 화두로 띄우고 있다. 9월 정기국회가 개원한 만큼, 논의 및 추진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자사주는 주주가치 제고와 밀접한 사안이다. 통상 자사주 매입부터 주가 호재로 여겨진다. 다만, 실질적인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선 자사주 소각이 뒤따라야 한다. 기업가치는 그대로인 가운데, 주식발행총수가 줄어들어 주당 가치가 올라가기 때문이다. 반면, 자사주를 소각하지 않고 보유 및 처분하며 대주주의 경영권 방어나 승계 등에 활용할 경우엔 오히려 주주가치를 훼손시킬 수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공약으로 제시한 것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제이에스티나가 이번에 사모펀드 등에 자사주를 처분한 것은 이러한 제도 개선 취지와 배치된다.
제이에스티나 측이 밝힌 자사주 처분 목적에도 다소 물음표가 붙는다. 제이에스티나는 이번 자사주 처분 목적을 기업 운영자금 확보 및 재무구조 개선으로 밝혔다. 그런데 제이에스티나는 적자행진이 이어지는 등 실적 부진에 빠진 상태지만, 재무적인 측면에선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다. 올해 상반기 기준 부채비율은 24.29%이고, 유보율은 488.52%다. 기업 운영자금 확보 및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32억원 규모의 자사주 처분이 시급하다고 보긴 어렵다.
이에 정부·여당 차원의 자사주 소각 의무화 추진이 실행에 옮겨지기 전에 자사주 처분을 단행한 것이란 지적이 제기된다.
더욱이 제이에스티나는 창업주인 김기문 회장이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중소기업 대통령’이라 불리는 중소기업중앙회장은 중소기업을 대표해 정부 및 정치권과 소통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꼽힌다. 따라서 제이에스티나 역시 더욱 책임 있는 모습이 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여당이 추진 중인 제도 개선 및 주주가치 제고가 강조되는 시대흐름을 거스르고 있는 모습이다. 뿐만 아니라 제이에스티나는 중국산 시계를 국산으로 둔갑시켜 판매한 혐의로 김기문 회장과 딸 김유미 대표 등이 기소돼 현재 재판을 받고 있기도 하다. 여러모로 씁쓸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이번 자사주 처분 이후에도 제이에스티나는 8.24%의 자사주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자사주의 향방은 어떻게 될지, 또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어떤 행보를 보이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