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윤진웅 기자] SK그룹이 수원 선경도서관 개관 30주년인 올해를 재도약 원년으로 삼고 대대적인 시설 업그레이드에 나선다. 그룹 발상지인 수원을 향한 창업·선대회장의 애향 정신을 토대로 인재 양성을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SK그룹은 28일 선경도서관의 노후화된 시설 개보수와 복합문화공간으로의 재도약을 위해 25억원을 기부한다고 밝혔다.
선경도서관은 지난 1995년 SK그룹(당시 선경)이 250억원을 기부해 설립한 곳이다. 당시 서울 강남 테헤란로의 중대형 빌딩을 사거나 세계에서 가장 큰 배였던 유조선 '시와이즈 자이언트'를 인수할 수 있는 액수다.
선경도서관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수원화성 성곽 내 자리 잡고 있다. 개관 후 누적 이용객은 2100만명, 연간 이용객은 23만여 명에 달한다.
선경도서관이 자리하고 있는 수원은 SK그룹의 모태인 선경직물이 사업을 시작한 발상지이자 형제인 고(故) 최종건 창업회장과 고 최종현 선대회장의 태생지이다.
최 선대회장은 형인 최 창업회장의 애향 정신을 기리고자 수원에 선경도서관을 설립했다. 선경도서관 개관 전 수원시는 인구 75만의 대도시임에도 도서관이 2곳에 불과했다.
SK그룹은 1989년 법원과 경찰청 등이 사용하던 팔달산 자락의 1만1830㎡ 부지를 매입해 1991년 수원시에 기증하고, 2년 후 착공을 시작해 1995년 건물을 지어 통째로 기부했다.
도서관 개관 후에도 선경그룹은 도서 4만9598권, 비도서 2529점 총 5만2127권을 기증했다. 도서 구입비만 약 8억 정도로 타 도서관의 4배 정도였다.
현재 선경도서관은 52만7000여권을 소장하고 있는 시민들의 지식 공간 역할을 하고 있다.
이명옥 선경도서관 관장은 "SK그룹의 이번 기부를 통해 어린이자료실과 로비를 확장해 이용객들의 접근성을 높여 시대변화에 맞는 '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나고자 한다"며 "주변의 수원 행궁이 관광명소로 떠오르고 있는데, 선경도서관도 수원에 오는 관광객들의 필수 코스로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최종현 회장은 생전 인재양성의 중요성을 꾸준히 강조하며 다양한 사회공헌 사업을 추진했다.
1972년 임야를 조성해 조림 수익으로 장학기금을 마련하는 '수목경영'을 도입했고, 1974년 '일등 국가, 일류 국민 도약과 고도의 지식산업사회 건설'을 목표로 민간기업 최초의 장학재단인 한국고등교육재단을 설립했다.
당시 선경은 겨우 50대 기업에 들었고, 석유파동까지 겹쳐 회사 내부에선 장학사업에 대한 반대가 컸으나 최 회장은 사재를 털어 장학사업을 벌일 정도로 열정을 보였다.
한국고등교육재단은 지난 50년간 한국인 최초의 하버드대 종신 교수인 박홍근 교수, 하택집 존스홉킨스대 석좌교수, 천명우 예일대 심리학과 교수 등 세계 유명 대학의 학자 861명을 배출했고, 4000명 이상의 장학생을 지원하는 성과를 거뒀다.
최종현 회장 20주기를 맞은 2018년 최태원 SK그룹 회장 역시 사재인 SK㈜ 주식 20만주(당시 520억원 상당)를 출연해 '최종현학술원'을 창립했다. 그는 '국가 인재'를 키운다는 목적으로 대를 이어 한국고등교육재단을 후원하고 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