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 주말·휴일 심혈관 응급의료 '불안'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부산지역에서 주말과 휴일 심혈관 응급환자를 진료할 전문 의료진 공백이 심각해지면서 환자와 보호자는 물론 각 병원 응급실 관계자들까지 큰 혼란을 겪고 있다. 특히 심근경색과 같은 중증 심혈관질환은 발병 직후 수 시간 내 신속한 시술이 환자의 생명을 좌우하기 때문에 의료 공백은 곧 ‘골든타임’을 놓칠 위험으로 직결된다.
  
지난 8월 23일, 일흔셋 남성 K씨는 명치 통증과 식사 곤란 증세로 집 근처 부산 C병원 응급실을 찾았다. 검사 결과, 급성 심근경색이 의심됐지만 당시 부산·울산권의 대학병원 상당수가 주말 당직 인력 부족으로 즉각적인 시술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이를 파악한 C병원 응급실 당직근무의사는 온병원 응급센터와 심혈관센터 등과 신속한 협의 끝에 K씨를 긴급 전원시켰고, 온병원 도착 즉시 응급 시술이 진행됐다. K씨는 관상동맥 두 곳이 완전히 막힌 상태였으나, 온병원 심혈관센터 김현수 과장(전 고신대복음병원 심장내과 교수)로부터 긴급 관상동맥중재술을 통해 스텐트 3개를 삽입하고 혈류를 확보해 현재 중환자실을 거쳐 28일 현재 일반병실에서 퇴원을 앞두고 있다.
  
온병원 김동헌 병원장(전 부산대병원 병원장)은 "주말이나 휴일에는 대학병원에서 시술 공백이 잦아 환자들의 불안이 크다"며 "우리 병원은 심장 전문의 4명이 24시간 상시 대기 체계를 갖추고 있어 즉시 시술이 가능하다. 앞으로도 지역 병원들과의 협력을 강화해 환자의 안전망을 빈틈없이 지키겠다"고 말했다.
  
실제로 부산·울산권 대학병원들은 의료인력 부족으로 응급 심혈관 시술 당직 인력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응급실 의료진은 혈관이 막힌 환자를 앞에 두고도 적절한 치료를 연결할 병원을 찾지 못해 곤란을 겪고 있다.
  
부산지역 의료계는 "의료 공백 상황을 개별 병원의 역량으로만 메우는 데는 한계가 뚜렷하다"며 "응급 심혈관 시술 체계를 지역 차원에서 협력적으로 운영해 환자의 골든타임을 보장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정근 대한종합병원협회  회장은 "중증 심혈관 환자가 발생할 경우 119구급대원들이 응급처치와 병원 이송에 더 없이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으나, 대학병원이나 거점종합병원 내 해당전문의 부재 문제는 지역 응급의료체계의 개선 과제로 여전히 남아 있다"며 "지역 종합병원 등이 응급 심혈관 환자들을 적극 대처할 수 있게 필수의료인력 충원, 지역수가 신설 등 복지부의 현실적인 정책 대안 제시가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부산지역 , 주말·휴일 심혈관 응급의료 '불안'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