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TV, 홈쇼핑 구매 기여도 최고…송출수수료는 '최저'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케이블TV 가입자는 TV홈쇼핑에서 가장 활발히 구매하는 핵심 고객층이지만, 가입자당 송출수수료는 여전히 유료방송 플랫폼 중 최저 수준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여도와 수수료 체계가 엇갈리면서 개선 필요성이 제기된다.


28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홈쇼핑-유료방송 분쟁 해소 및 합리적 해결 방안 모색' 특별세미나에서 발제를 맡은 정윤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는 "케이블TV는 소비자 기여도 대비 낮은 송출수수료를 받고 있다"며 "실제 구매 행태와 행동 패턴을 반영한 합리적 산정 체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날 정윤재 교수는 만 20~59세 남녀 59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에 따르면 케이블TV 8VSB 가입자는 월평균 2.2회 홈쇼핑 상품을 구매해 △QAM(1.8회) △IPTV(1.7회) △위성방송(1.7회)보다 높았다.

소비자 구매 여정에서도 TV홈쇼핑의 영향력은 여전했다. 응답자의 △80.6%가 제품을 처음 인지한 경로로 TV홈쇼핑을 꼽았고 △80.1%는 관심 형성 △79%는 구매 의도 형성에 영향을 받았다고 답했다. 반면 인터넷·모바일 라이브커머스는 평균 18.7%, 지인 추천이나 후기는 1.4%에 그쳤다.

◆IPTV·위성 두 자릿수↑… 케이블은 5.6% 증가 그쳐

그러나 송출수수료 구조는 소비자 기여와 정반대였다. 

지난해 기준 TV홈쇼핑사가 유료방송사업자에 지급한 가입자당 송출수수료는 케이블TV가 가장 낮았다. 2018년 대비 2024년 증감률을 보면 IPTV는 59.2%, 위성방송은 15.4% 증가했지만 케이블TV는 5.6% 상승에 그쳤다.

닐슨코리아 조사에 따르면 2018~2024년 유료방송 플랫폼별 시청률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시청률당 송출수수료 증감률은 플랫폼 간 격차가 뚜렷하게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합리적 근거 부족…데이터 기반 산정 체계 필요"

정 교수는 "가입자수, 시청률, 기대 시청자수 등 기존 매체 지표로는 수수료 격차를 설명할 수 없었다"며 "유일하게 월평균 구매 횟수만 유의미한 변수였고, 케이블 가입자가 가장 많이 구매했음에도 낮은 수수료를 받고 있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개선 방향으로 △제3의 중립 기관 검증 및 데이터 표준화 △방송 이후 모바일·웹 전환 구매 반영 △협상·분쟁조정 시스템 고도화 △패널·빅데이터 기반 정책 연구 강화를 제안했다.

정 교수는 "TV홈쇼핑은 여전히 소비자의 구매 결정을 이끄는 핵심 채널"이라며 "가입자 기여도에 부합하는 송출수수료 산정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케이블TV, 홈쇼핑 구매 기여도 최고…송출수수료는 '최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