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올해 1분기 임금근로 일자리가 불과 1만5000개 늘어나는 데 그치며,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은 증가폭을 기록했다. 건설업·제조업·도소매업 등 전통적 고용 기반이 흔들리는 가운데, 특히 20대 이하와 40대 일자리가 역대 최대폭으로 감소해 청년층 고용 불안이 뚜렷해지고 있다.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1분기(2월 기준)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2053만6000개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만5000개 증가한 수준으로, 지난해 4분기 증가폭(15만3000개)에도 크게 못 미쳤다. 2017년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10만개를 넘지 못한 것이다.
산업별로는 건설업 일자리가 15만4000개 줄며 역대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건설업 고용은 6분기 연속 줄어 전체 비중이 8.2%까지 떨어졌다. 제조업도 1만2000개 감소하며 4년 만에 다시 줄었다. 도소매업도 8000개 감소해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반면 △보건·사회복지(10만9000개) △전문·과학·기술(2만4000개) △운수·창고(2만1000개) 등에서는 증가세가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에서 19만7000개 늘며 가장 큰 폭의 증가를 보였다. 30대(6만4000개)와 50대(2만1000개)도 증가했지만, 20대 이하(-16만8000개)와 40대(-10만개)는 크게 줄었다. 특히 20대 이하 일자리는 10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고, 5분기 연속 10만개 이상 줄어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감소 폭 역시 역대 최대였다.
성별로는 남성이 11만5000개 줄어든 반면, 여성은 13만개 늘었다. 남성은 건설업·제조업 중심으로 감소했고, 여성은 보건·사회복지와 교육 분야에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속되는 건설경기 침체와 수출 부진이 건설업·제조업 일자리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라며 "도소매업 일자리 감소는 내수 부진의 직접적인 결과"라고 전했다.
이어 "경기 악화뿐 아니라 인구 구조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덧붙였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