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세종시가 다음달부터 이어지는 대규모 한글 행사를 앞두고 '한글문화도시 세종'의 매력을 전국에 각인시키기 위해 총력 준비에 나섰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지난 26일 확대간부회의에서 "다가오는 한글 행사를 통해 세종시가 지향하는 도시 정체성을 방문객들에게 확실히 보여줘야 한다"며 숙박·먹거리·굿즈 등 관광 편의와 가로환경 정비까지 촘촘한 준비를 주문했다.
시는 9월1일부터 10월12일까지 조치원1927아트센터 등에서 '2025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를, 10월'9일에는 세종호수공원에서 '2025 세종한글축제'를 개최한다.
최 시장은 "행사 기간 주차난 해소와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이응패스·여민전 통합카드 사용 혜택 방안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또한, 내년도 정부 예산안 심의를 앞두고 "마지막까지 긴장을 늦추지 말고 중앙부처·국회를 대상으로 예산 확보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세종시 문화관광의 새로운 자원으로 떠오른 한솔동 고분군 활용 방안도 강조됐다. 다음달 8일 국가지정문화유산(사적)으로 지정 고시되는 한솔동 고분군은 백제시대 무덤 14기로 학술적·역사적 가치가 크다.
최 시장은 "공주·부여, 일본 나라현과 연계한 학술교류와 관광 협력, 나아가 고분 체험·테마파크 조성까지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시 관계자는 "이번 조례 선정은 시민의 안전의식을 높이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시민과 함께하는 안전 정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또한, "우수조례 선정 결과가 시민 의견을 직접 반영한 것"이라며 "정책 신뢰도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한글문화, 백제문화라는 두 가지 축은 세종시를 대한민국 대표 문화도시로 만드는 핵심 자원"이라며 "방문객이 다시 찾고 싶어지는 매력적인 도시로 자리매김하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