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경남도가 도민 생활 안정과 재난 피해 복구를 위한 1조1038억원 규모의 '2025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을 25일 도의회에 제출했다. 이번 추경을 포함하면 경남도의 총 예산 규모는 14조5226억원이다.

이번 예산안에는 정부 소비쿠폰 지급에 따른 국비 8586억원과 도비 475억원이 반영됐다. 성립 전 예산과 공모사업 등 국비 변동분도 반영해 조기 집행 기반을 마련했다. 특히 지난 7월 중순 발생한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 복구 예산도 다수 포함됐다.
예산은 '선택과 집중' 원칙에 따라 편성됐다. 재난 복구와 도민 생활 안정과 같은 시급한 현안에는 재원을 우선 투입하고 실집행률이 낮은 사업이나 행사성·소모성 경비는 과감히 삭감했다. 시급성이 떨어지는 사업은 제외하고 세출 구조조정을 통해 마련한 재원은 꼭 필요한 분야에 집중 배분했다.
◆소상공인 내수진작…도민생활 안정
이번 추경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항목은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내수 활성화 예산이다. 도는 소비 촉진과 소상공인 매출 확대를 위해 9061억원을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업에 투입하기로 했다.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 예산도 162억원 추가 편성돼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기업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방투자촉진보조금도 423억원 증액 편성됐다.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와 교통비 부담 완화를 위한 예산도 확대됐다. 청년 등을 대상으로 한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사업(K-패스)에는 42억원, 어르신 등 교통 약자를 위한 경남형 대중교통비 지원사업(경남 K-패스)에는 45억원이 증액 반영됐다.
◆호우피해 긴급복구…재난·생활안전 강화
지난 7월 중순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 복구 예산도 추경에 포함됐다. 재난대책비로 66억원이 편성됐으며, 상습침수 농경지의 침수 예방을 위한 배수개선 사업에는 38억원이 배정됐다. 지방하천 둑높이기 사업에는 신규로 6억원이 편성돼, 향후 재해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도로·문화재·산림 등 다양한 분야의 복구 및 정비 예산도 포함됐다. 위험절개지 도로시설물 정비 등 지방도 정비사업에는 총 21억원이 반영됐으며, 도지정유산과 전통사찰 등의 긴급 보수에도 5억원이 투입된다. 산사태 피해 복구를 위한 예산도 7억원이 편성됐다.
여기 더해 하천 준설과 농가 긴급지원이 시급한 산청·하동 등 지역에 대해서는 총 21억원 규모의 예산을 예비비로 편성해 긴급 집행할 예정이다.
이번 추경예산안은 9월9일부터 열리는 제426회 경상남도의회 임시회에서 심의를 거쳐 9월18일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