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광주광역시교육청이 혁신적인 보상 시스템 도입을 검토하며 교육계에 파란을 일으키고 있다.
직무의 중요성과 난이도를 기준으로 별도 수당을 지급하는 '중요직무급' 제도를 추진한다. 이는 공무원 사회의 오랜 관행을 깨고, 효율성과 책임감을 극대화하려는 파격적인 시도로 풀이된다.
이번에 검토되는 중요직무급 제도는 '지방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전체 정원의 24% 내에서 지급이 가능하다. 특히, 막중한 재정·시설·안전 업무를 책임지는 학교 행정실장 등 핵심 직무를 중심으로 수당 지급이 이뤄질 전망이다.
시교육청은 제도 도입을 위해 9월부터 노동조합과 교직원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운영할 계획이다. 협의체는 지급 대상, 범위, 기준 등 첨예한 쟁점을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특정 직위에 수당이 일괄 지급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형평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이정선 교육감은 "학교 행정실장들이 학교 현장에서 막중한 책임을 지고 있는 현실을 잘 알고 있다"고 밝히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합리적인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공정하고 지속가능한 제도를 만들기 위해 노동조합과 학교 현장 의견을 충분히 수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중요직무급 도입은 단순한 수당 지급을 넘어, 학교 현장의 핵심 인력에게 합당한 보상을 제공하고 업무 효율을 끌어올려 '공정과 책임'이라는 새로운 조직 문화를 정착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