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윤진웅 기자] 첫 한미 정상회담에 국내 대표 기업 총수 등 15명이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한다. 이들은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로 대표되는 조선부터 반도체와 원전 등 전방위적 한미 경제 협력을 통해 양국 동맹 강화를 뒷받침할 계획이다.
21일 재계에 따르면 오는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 경제사절단 명단에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류진 한국경제인협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이재현 CJ그룹 회장 △허태수 GS그룹 회장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이름을 올렸다. 롯데그룹도 동행하기로 했으나 신동빈 회장이 직접 참석할지는 확정되지 않았다.
이들은 국내 주력 산업을 대표하는 동시에 미국 현지 사업을 강화 중인 기업들을 이끌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녔다.
이재용 회장은 최근 미국 방문을 전후로 테슬라, 애플과 잇따라 대형 공급 계약을 맺었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텍사스주 테일러 공장의 증설 계획을 밝힐 가능성이 크다.
최태원 회장이 이끄는 SK그룹은 핵심 계열사인 SK하이닉스가 인디애나주 웨스트 라파예트에 차세대 HBM 생산을 위한 반도체 후공정 공장 건설을 준비 중이다.
정의선 회장은 지난 3월 미국 자동차, 부품 및 물류, 철강, 미래 산업 분야에 2028년까지 총 210억달러(29조원)를 투자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구광모 회장이 이끄는 LG그룹은 LG에너지솔루션이 기존 생산시설에 더해 미시간주 랜싱과 애리조나에 단독 공장을, 조지아와 오하이오에서 각각 현대차, 혼다와 합작 공장을 짓고 있다.
김동관 부회장과 정기선 수석부회장은 최근 한미 통상 협상 타결에 결정적 역할을 한 마스가 프로젝트의 주인공 격으로서, 해당 프로젝트의 차질 없는 추진 의지와 함께 구체적 계획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이 방미 기간 필라델피아에 있는 한화필리조선소를 찾는 만큼, 김동관 부회장이 현지에서 수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기선 수석부회장은 그동안 파트너십을 맺어온 미국 방산기업 안두릴, 조선업체 에디슨 슈에스트 오프쇼어와 협력 본격화를 위한 논의를 할 것으로 보인다.
허태수 GS그룹 회장은 미국의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및 에너지사업과 관련한 활동을 펼칠 것으로 관측된다. GS칼텍스와 GS EPS는 그동안 미국산 원유와 LNG를 구매해왔고, 향후 미국산 LNG 추가 구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GS, GS에너지, GS EPS, GS건설, GS리테일 등은 미국 벤처기업과 손잡고 콜렉티브 펀드, 뉴저지 LNG 열병합 발전소 등에 투자를 해왔고, 추가로 미국 전력 및 에너지 저장장치(ESS) 시장에 신규 투자를 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조원태 회장은 대한항공이 미국 보잉과 48조원 규모의 항공기·엔진 도입 계약을 맺는 등 우주항공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박지원 회장은 두산에너빌리티의 소형모듈원자로(SMR)와 관련한 한미 협력을 논의하고, 서정진 회장은 현지 바이오기업 생산 공장 인수의 후속 조치를 내놓을 것으로 관측된다.
이재현 회장은 미국 식품·콘텐츠 사업 확대 계획이, 최수연 대표는 인공지능(AI) 관련 협력 방안이 관심사이며, 최윤범 회장의 경우 미국의 공급망 탈중국화 기조에 맞춰 전략광물 수출 확대 등을 논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