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가 총사업비 6000억원 규모의 인공지능(AI) 2단계 프로젝트 'AX(인공지능전환) 실증밸리 조성 사업'에 본격 착수했다.
지난 18일 국무회의에서 사업계획이 의결되면서 광주는 향후 5년간 AI 모빌리티, 에너지, 도시문제 해결 전반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해 국가 시범도시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을 확정했다.
강 시장은 "시민이 체감하는 AI 혁신을 통해 광주가 소버린 AI 전략의 전초기지가 되도록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사업 구조는 세 축이다. 우선 3000억원을 투입해 광주·전남의 핵심 산업인 모빌리티·에너지 분야를 AI 기반으로 고도화한다. 자율제조, 자율주행, 로봇 등 피지컬 AI 기술개발을 실증·상용화하고, 분산전력망 및 에너지 운영기술을 확보해 정부 국정과제인 'AI 모빌리티 국가 시범도시'와 'RE100 산단 조성'과 연계한다.
또, 2000억원은 생활밀착형 도시문제 해결에 투입된다. 교통체증, 돌봄, 안전, 환경 등 사회현안을 AI 모델로 해결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증 프로젝트를 전개한다. 나머지 1000억원은 'AI 이노스페이스' 구축에 사용된다.
연구·교육·창업·실증·상용화 전 과정을 통합 지원하는 컨트롤타워로, 국산 AI 반도체 검증 환경과 피지컬 AI 모델링 인프라(WFM)를 제공해 청년과 기업이 집적되는 혁신 플랫폼을 만든다.
광주시는 이와 병행해 △국가 AI 집적단지 지정 △AI 규제자유특구 지정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를 추진한다. AI 기본법 시행에 따라 집적단지 지정이 이루어지면 안정적 행·재정 지원이 가능해지고, 규제자유특구는 기업 실증 활성화와 신속한 행정 절차, 세제 지원을 담보한다.
이미 광주는 5만㎡ 부지와 120MW 전력을 확보하며 초거대컴퓨팅센터 유치 기반을 마련했다. 이는 데이터 주권을 확보하는 '소버린 AI'전략의 핵심 인프라로 평가된다.
이번 2단계는 1단계 성과 위에서 추진된다. 광주는 지난 5년간 4300억원 규모의 1단계 사업을 통해 국내 유일의 국가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했고, 900여 개 기업이 2000여 건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또한 AI사관학교-융합대학-대학원으로 이어지는 인재 양성 체계를 완성해 연 4000명 이상의 AI·디지털·반도체 인재를 배출했다. 이 과정에서 299개 기업이 업무협약을 체결했고, 이 중 158개 기업이 실제 광주에 둥지를 틀었다. 글로벌 AI 반도체 기업인 에임퓨처와 에이직랜드도 광주를 거점으로 삼으며 기술 클러스터를 강화했다.
지역 경제계도 환영의 뜻을 밝혔다. 광주상공회의소는 "2단계 사업이 광주를 대한민국 AI 중심도시로 도약시키는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면서, 성과 극대화를 위해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와 AI 집적단지·규제자유특구 지정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시장은 "앞으로 5년도 AI 중심도시는 광주가 될 것"이라며 "시민이 AI 혁신의 직접적 수혜자가 되고 청년과 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인프라·인재·기업이라는 삼각축에 더해 6000억원 투자가 결합되면서 광주는 단순한 지역 거점을 넘어 대한민국 AI 경제의 전략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