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데일리 = 정수미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와 KOTRA가 미국 관세 협상 타결에 따른 후속 조치로 관세 부담을 겪는 중소·중견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관세 대응 바우처 사업’을 확대한다고 19일 밝혔다.
이에 따라 오는 20일 오전 10시 온라인 설명회를 열고 사업개요, 신청 요건, 신청 방법 등을 안내한다. 산업부와 KOTRA는 지난 4월과 6월 대미(對美) 직·간접 수출기업과 중간재 해외 수출기업 900여 개사를 지원 대상으로 선정한 바 있다. 이번에는 전 세계 직수출 기업과 대미 수출 준비 중인 내수기업까지 범위를 넓혀 총 1300여 개사 내외를 선정할 예정이다.
특히 2024년 기준 수출 200만 달러 이상 또는 대미 직수출 20만 달러 이상 기업 대상으로 신청 접수 후 3일 이내 선정 여부를 안내하는 ‘패스트 트랙’을 신설했다. 패스트 트랙에서 탈락해도 일반 트랙을 통해 다시 평가 받을 수 있다.
현재 사업 참여 중인 기업들은 해외전시회, 국제 운송, 해외 인증 등 기존 인기 메뉴 외에도 KOTRA 해외무역관이 선별한 전문가를 활용한 ‘관세대응 패키지’를 이용하고 있다. 자동차부품 제조기업 A사는 ‘해외 생산거점 진출지원 조사·컨설팅’을 통해 미국 자동차공장 설립 기초조사를 진행 중이며, KOTRA는 미국 대형 부동산 전문기업과 협업해 이 조사를 지원 중이다. 소비재 기업 B사는 공급망 다변화와 신규 생산거점 확보를 위해 ‘해외 생산파트너(OEM) 발굴 조사’ 서비스를 활용해 글로벌 사우스 지역에서 새로운 파트너를 찾고 있다.
강경성 KOTRA 사장은 “관세 협상 타결로 우리 기업들은 새로운 기회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며 “관세 대응 바우처 사업이 대체시장 발굴과 생산거점 이전 등 수출 해법 마련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