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자연재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19일 밝혔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날 강남구 도시관제센터를 방문해 현장 관계자들을 격려하고, 행정안전부·환경부 등 관계부처와 기업·연구기관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열었다.
최근 기후변화로 폭우·폭염 등 극한 기상 상황이 늘면서 자연재난 피해가 복합화·대형화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기존 대응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AI와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예측·분석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AI는 재난 데이터와 국토정보를 통합해 위험을 사전에 파악하고, 발생 시 피해 확산을 빠르게 예측해 피해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쿠도커뮤니케이션, 인텔리빅스, 알체라 등 기업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등이 참석했다. AI 기반 도시침수 대응체계, 홍수기 도로 위험 알림 서비스, AI CCTV를 활용한 재난 대응 사례 등이 공유됐다. 참석자들은 AI 활용 확대를 위해 지자체 보유 데이터 개방과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기후변화로 자연재난 피해가 커지는 상황에서 AI는 기존 체계의 한계를 극복할 열쇠”라며 “AI와 디지털 기술이 국민 안전을 지키는 기반으로 자리잡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