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쌀·라면 줄줄이 인상…7월 먹거리 물가 1년 만에 최고

마이데일리
서울 송파구 가락농수산종합도매시장. /방금숙 기자

[마이데일리 = 방금숙 기자] 장바구니에 경고등이 켜졌다. 수산물·곡물·라면에서 냉면·김밥까지 먹거리 가격이 줄줄이 오르며 지난달 식품 물가가 1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외식물가마저 치솟아 4인 가족 한 끼 외식비가 10만원에 육박하는 사례도 나오고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7월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지수는 125.75(2020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3.5%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7월(3.6%) 이후 1년 만의 최고치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1%)을 크게 웃돌았다.

품목별로는 어류 및 수산물 가격이 7.2% 올라 2023년 7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오징어채는 무려 42.9% 상승했고, 조기 13.4%, 고등어 12.6% 등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다.

빵·곡물(6.6%)도 2023년 9월(6.9%) 이후 1년 10개월 만에 가장 크게 올랐다. 쌀(7.6%)은 지난해 3월(7.7%) 이후 1년 4개월 만에 다시 7%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라면(6.5%)은 석 달 연속 6%대 상승률을 이어갔다. 커피·차 가격은 13.5%나 뛰었다.

외식물가도 상승세도 심상치 않다. 10일 한국소비자원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서울 냉면 평균 가격은 1만2269원으로 1년 전보다 2.9% 올랐다.

메밀 가격이 1년 전보다 6% 하락했음에도 돼지고기·양념 등 부재료와 인건비, 최저임금 인상 등이 가격 인상 요인으로 작용했다. 서울 냉면집에서 4인 가족이 물냉면 한 그릇씩에 수육 하나만 먹어도 10만원이 넘는다.

서울 김밥 한 줄 평균 가격은 3623원으로 지난해 말(3500원)보다 3.5%(123원) 올랐다. 20kg 기준 쌀 가격이 전년 대비 10.2% 인상되는 등 주재료 가격이 급등했고, 김·시금치 등 부재료와 임대료·인건비 상승이 맞물려 가격이 뛰었다.

냉면·김밥 외에도 단골 외식 메뉴인 칼국수(3.3%), 김치찌개 백반(2.8%), 비빔밥(2.4%), 삼계탕(2.2%)도 가격이 상향 조정됐다.

전문가들은 “기록적인 폭염과 폭우 등 이상기후 영향으로 농축수산물 공급이 불안정해지면서 하반기에도 물가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정부는 “기상악화로 인한 농축수산물 가격·수급 변동성이 최소화되도록 품목별 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수산물·쌀·라면 줄줄이 인상…7월 먹거리 물가 1년 만에 최고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