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김 가격이 고공행진하자, 정부가 약 20년 만에 마른김 비축에 나선다. 가격이 상승할 때 시장에 비축 물량을 공급해 가격 안정을 꾀한다는 방침이다.
해양수산부는 10일 기획재정부와 마른김 비축 제도를 도입하기 위해 협의하고 있다.
현재 수산물 비축 관련 예산은 1751억원이다. 이를 늘리기 위한 협의로 풀이된다.
정부 비축 제도는 주요 농·수산물의 가격이 저렴할 때 사들여 보관한 뒤, 가격이 오르면 시중에 방출하는 방식이다.
현재 해수부 비축 품목은 명태·고등어·오징어 등 대중성 어종 6종과 천일염뿐이다, 양식 수산물은 포함돼 있지 않다.
지난해에도 김 가격 상승에 비축 필요성이 제기됐지만, 당시 해수부는 '김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에 비축 사업을 포함하지 않았다.
하지만 김 가격 상승세가 올해도 이어지자, 정부의 비축 추진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전재수 해수부 장관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양식 수산물은 생산 예측이 가능해 비축하지 않았지만, 비축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집계에 따르면, 마른김(10장) 평균 소매 가격은 지난 8일 기준 1347원이다. 평년 952원과 비교해 41.5% 높다.
정부의 마른김 비축은 약 20년 만이다. 지난 1979년부터 2006년까지 진행됐지만, 가격 폭락과 품질 저하 등의 이유로 중단됐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