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질문에서 해법까지'… 광산구, 지속가능 일자리 모델 전국에 확산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광주 광산구(구청장 박병규)가 '지속가능 일자리'라는 거대한 퍼즐을 풀어가며 주민과 함께 그려낸 성과들이 하나둘 눈앞에 나타나고 있다. 

단순한 고용 창출을 넘어, 불평등 해소와 기후위기 대응, 지역 맞춤형 일자리 생태계 조성까지 아우르는 '광산형 일자리 혁신'은 전국에서도 주목받는 모범 사례로 떠오르고 있다.

이번 2차 '찾아가는 지속가능 일자리 대화마당'은 지난 6월 한 달여간 진행된 1차 대화마당의 연장선에 있다. 

박 구청장이 직접 21개 동을 방문해 정책 추진 배경과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1436개의 시민 질문과 20개의 핵심 의제를 모은 것이 출발점이었다. 주민들이 던진 질문은 때론 날카로웠지만, 그 속엔 마을의 현실과 미래에 대한 애정이 가득 담겨 있었다.

특히 광산구가 주력하는 '지속가능일자리특구' 정책은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마을 자원과 특성을 고려한 일자리 맞춤 설계라는 점에서 남다르다. 

예를 들어 기후위기 대응 분야에선 재생에너지 관리 인력 양성과 그린리모델링 전문 기술자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돌봄과 사회서비스 분야에선 지역 내 돌봄 일자리 질 개선과 사회임금 지급 필요성에 대한 공론화를 이끌어냈다.

주민들의 반응도 뜨겁다. 

한 마을에서는 "우리 목소리가 곧 정책의 재료가 되는 경험은 처음"이라며, 단순한 건의가 아닌 '‘함께 만드는 정책’'에 대한 만족을 표했다. 또 다른 주민은 "질 좋은 일자리와 마을의 지속가능성을 한꺼번에 챙기는 정책이라면, 우리 아이들 세대까지 안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광산구는 이번 2차 대화마당에서 모인 주민 의견을 '백서'에 담아, 질문에서 해법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기록할 계획이다. 이 백서는 단순 보고서가 아니라, '광산형 지속가능 일자리 교과서’'가 될 전망이다.

박병규 광산구청장은 "정책은 탁상 위에서 완성되지 않는다. 주민 속으로 들어가 함께 고민하고 답을 찾을 때 비로소 힘을 발휘한다"며, "광산구의 답은 시민 속에 있고, 그 답을 하나하나 실현해가는 과정이 지금 진행 중"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광산구의 접근은 '정책-시민-마을'이 삼각형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라며, "이는 전국 지자체가 참고할 만한 선도 모델"이라고 평가했다.

박병규 청장과 광산구의 발걸음은 이제 시작이다. 하지만 그 길 위에 쌓이는 성과와 주민들의 신뢰는 이미 박 청장에게 뿌듯한 미소를 안겨주고 있다. 이 흐름이 계속된다면, '광산구 모델'이 대한민국 지속가능 일자리의 표준으로 자리 잡는 날도 머지않아 보인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시민 질문에서 해법까지'… 광산구, 지속가능 일자리 모델 전국에 확산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