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웹툰, APEC서 불법 웹툰 대응 기술 '툰레이더' 소개

포인트경제

[포인트경제] 네이버웹툰의 불법 웹툰 유통 대응 기술 ‘툰레이더’가 APEC 국제 워크숍에서 우수 사례로 소개됐다. 6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APEC 국제 워크숍 ‘불법 스트리밍 단속을 위한 접근법 및 전략’에서 네이버웹툰은 국내 콘텐츠 업계를 대표해 저작권 보호를 위한 기술적 대응 방법과 성과를 발표했다고 7일 밝혔다.

네이버웹툰 김규남 CRO /네이버웹툰 제공 (포인트경제)
네이버웹툰 김규남 CRO /네이버웹툰 제공 (포인트경제)

이번 워크숍에는 APEC 저작권 보호 정책 담당자와 전 세계 저작권 관련 기구 관계자 등 100여 명이 현장에 참석했고, 온라인으로도 약 200명이 참여했다.

네이버웹툰의 김규남 CRO는 발표에서 국내외 불법 웹툰 사이트 현황과 피해 규모를 설명하며 “불법 사이트는 계속 진화하기 때문에 모니터링 후 삭제, 법적 대응, 불법 콘텐츠 삭제 요청(테이크다운 노티스) 등 전통적 방식에만 의존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김 CRO는 기존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술적 대응이 필수라고 강조하며 네이버웹툰이 자체 연구 개발한 ‘툰레이더’를 소개했다. 툰레이더는 웹툰 이미지에 보이지 않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삽입해 최초 불법 유출자를 식별하고 차단하는 기술이다. 2017년 7월부터 국내외 불법 웹툰 복제물 추적에 활용해 왔으며, 최근에는 불법 복제 활동 징후를 포착해 의심 계정을 선제 차단하는 머신 러닝 기술 고도화에 집중하고 있다.

김 CRO는 “불법 사이트는 폐쇄 후 운영자 처벌까지 이어져야 진짜 끝”이라며 “웹툰 산업의 글로벌 영향력 확대에 따라 해외 불법 사이트 대응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고, 국가 간 수사 공조 및 사법 당국의 강력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네이버웹툰은 해외 불법 사이트 대응 강화를 위해 다양한 방책을 추진 중이다. 올해 초 한국 기업 최초이자 웹툰·웹소설 플랫폼 자격으로 유일하게 글로벌 저작권 보호 전문조직 ACE(Alliance for Creativity and Entertainment) 회원사로 가입했다. ACE는 미국영화협회(MPA) 산하 글로벌 저작권 보호 전문 조직으로, 넷플릭스, 아마존, 애플 TV+, 유니버설 스튜디오,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등 주요 미디어·엔터테인먼트 기업이 회원사로 활동하고 있다.

네이버웹툰은 7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 안티파이러시 서밋(APAC ANTI-PIRACY SUMMIT)’에 회원사 자격으로 참석해 회원사들의 불법 사이트 대응 전략을 학습했다. 오는 9월 미국 LA에서 열리는 ‘2025 ACE 글로벌 미팅(ACE GLOBAL MEETING)’에도 참석할 예정이다.

지난 2023년부터는 업계 최초로 창작자를 대리해 모든 비용을 부담하며 미국 법원을 통한 소환장(Subpoena) 조치를 시도하고 있다. 소환장 조치는 미국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DMCA)에 근거해 온라인 서비스 상 저작권 침해가 있을 경우 저작권자가 서비스 제공자에게 저작권 침해자로 의심되는 회원들의 개인정보 제출을 요구할 수 있는 제도다.

네이버웹툰은 이 제도를 통해 지난해 150여 개, 2023년 70여 개 불법 사이트의 활동을 중단시켰다. 트래픽 통계 사이트 ‘시밀러웹’ 집계에 따르면 네이버웹툰의 소환장 조치로 영향을 받은 220여 개 사이트의 연간 이용자 방문 트래픽은 38억 회 이상이다. 올해에도 소환장 조치를 계속 진행 중이다.

한편, 툰레이더를 중심으로 한 저작권 및 창작 생태계 보호 기술 연구는 네이버웹툰의 창작 생태계 지원 프로그램 ‘웹툰위드’의 일환이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네이버웹툰, APEC서 불법 웹툰 대응 기술 '툰레이더' 소개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