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단체관광 '무비자 입국' 허용…호텔·면세점, 유커 특수 기대감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정부가 오는 9월29일부터 내년 6월30일까지 중국 단체 관광객에 한해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면서, 침체돼 있던 관광·유통업계에 새로운 활력이 기대된다. 해당 조치는 국경절(10월 1~7일)을 앞두고 시행돼, 가을 성수기 '특수'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광 활성화 미니정책TF' 회의를 주재하고 이같이 결정했다.

정부는 외국인 관광객 유치 확대를 위한 핵심 관광 규제의 합리화 방안을 논의하고, 이를 최종 확정·시행하기로 했다.

중국인 단체관광객의 무비자 입국이 허용되면 방한 중국인 관광객 증가가 기대된다.


올해 상반기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252만6841명으로 지난해보다 13.9% 증가했다. 코로나 이전인 2019년 상반기의 90% 수준이다. 

면세점 업계는 이번 정책이 회복으로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분위기다. 단체 관광객은 매출 규모가 큰 데다 기업·기관 등으로부터 여행경비를 지원받아 오는 경우가 많아 개별 관광객보다 구매력이 높은 편이다. 

먼저 신세계면세점은 고부가가치 인센티브 단체 프로그램을 통해 연말까지 5만명 이상의 고객을 확보하고, 무비자 정책 시행 시 추가 1만명 이상을 유치해 총 6만명 이상의 고객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현대면세점은 중국 MICE 단체 유치와 아쿠아리움 등 주요 관광시설과 연계한 단체관광 관계 상품 개발도 검토 중이며, 롯데면세점도 맞춤형 쇼핑 인프라 구축 및 프로모션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호텔과 카지노 등의 수혜 업종은 유커 확대에 따른 상품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파라다이스 관계자는 "중국 고객 유치를 위한 맞춤형 상품 개발과 다양한 이벤트를 전개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호텔신라는 글로벌 멤버십 프로그램 '신라리워즈'의 올해 상반기 중국 본토 가입자 수를 전년 대비 232.5% 늘렸다. 홍콩과 대만 가입자도 각각 153%, 88% 늘었다. 이는 향후 호텔신라 면세점은 물론 호텔의 체류형·경험형 고급 소비로 전환을 이끌어낼 수 있다.

정부는 이번 조치로 중국 관광객 대상 방한 수요 확대와 지역경제 활성화, 소비 진작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향후 불법 체류 등 부작용을 감안해 무비자 대상 확대 여부도 검토할 계획이다. 관광업계에서는 향후 MICE 산업이나 개별관광객(FIT) 확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중국 단체관광 '무비자 입국' 허용…호텔·면세점, 유커 특수 기대감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