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개 단 간편결제 시장, 수수료 인하 칼날 다가오나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나날이 커지는 간편결제 시장에 가맹 수수료를 내릴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자율적 인하를 유도할 것이 유력하나, 간편결제 특성상 다양할 수밖에 없는 사업 구조가 반영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간편결제 수수료 공시 확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투명한 공시를 통해 자율적인 수수료 인하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간판결제 시장이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면서 체계를 재정비할 필요성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간편결제 선불충전금 규모만 봐도 상반기에만 1조원을 돌파했다.

실제로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 △쿠팡페이 등 간편결제 업체 상위 4개사의 충전금 규모는 1조69억원에 달했다. 전년 대비 11%가량 늘어난 것으로 1조원 돌파는 사상 처음이다.

단일 회사만 봐도 성장세를 느낄 수 있다. 카카오페이(377300)의 경우 올해 1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했는데, 거래액 증가가 실적 상승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2분기 영업익도 93억원으로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가는 중이다. 

이처럼 간편결제사들이 결제 시장에서의 존재감을 키워 갈수록 가맹점에 적용되는 수수료율은 타 업권 대비 높다는 지적이 따랐다.

일례로 간편결제 양강 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네이버페이는 영세 가맹점에 0.81%, 중소 가맹점에는 최대 1.77%의 수수료를 책정했다. 카카오페이의 경우 영세 가맹점 수수료율은 0.56%지만 높은 구간의 경우 1.94%까지 올라간다.

비용 구성 요소가 다르므로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카드사의 영세 가맹점 수수료율이 0.40%, 중소 가맹점이 최대 1.45%인 점을 감안하면 소상공인 입장에서 높다고 느낄만 하다. 이에 간편결제 시장이 커질수록 소상공인 부담도 가중된다는 주장까지 나온다.

다만 금융당국이 간편결제 수수료 인하 작업에 나서더라도 적잖은 진통이 따를 전망이다. 우선 '간편 결제' 안에 묶여있을 뿐 상세히 분류하면 빅테크는 물론 전자결제대행(PG)사, 이커머스, 온라인플랫폼까지 다양하다. 

사업 방향성이 다양한 만큼 각기 다른 구조를 갖추고 있다. 결제 중계 외에도 플랫폼 운영, 사용자 인증·보안 유지, 선불충전금 관리 등 다양한 부대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업계는 이같은 구조적 차이를 반영하지 않은 채 수수료만 인하할 경우, 서비스 질 하락이나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카드사 선례도 있다. 카드사의 경우 적격비용 제도 아래 정부가 일정한 기간마다 수수료율을 조정하고 있다. 문제는 소상공인 부담 경감이라는 이유로 인하만 단행됐다는 점이다. 영세 가맹점의 경우 1.5%에서 0.4%까지 내려갔다.

이에 본업인 신용판매에서는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 나아가 카드론 등 대출상품의 취급 규모를 늘려 건전성이 떨어지는 부작용을 초래하기도 했다. 당국이 자율적 인하 유도를 내세운 점도 결제시장 내 전례를 감안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소상공인 부담을 감안, 스스로 수수료율을 내리는 기업들도 있기에 자율적 인하 유도 방침은 긍정적"이라면서도 "영업에 중요한 정보들이 공개되는 것이다 보니 부담을 느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예를 들어 핀테크나 이커머스는 간편결제업을 영위하더라도 사업 목적부터가 다르다보니 이런 부분들도 구분해서 볼 수 있다면 좋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날개 단 간편결제 시장, 수수료 인하 칼날 다가오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