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發 관세 15% 부과에 K-소주 수출 전선 '비상'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K-소주가 글로벌 시장에서 파죽지세로 나아가던 가운데, 미국이 한국산 주류에 상호관세 15%를 부과하면서 수출길에 제동이 걸렸다. 국내 주류기업들은 현지 판매가 인상은 물론, 향후 수출 전략에도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미국은 기본관세 10%를 부과한 지 4개월 만에 지난 1일 5% 관세를 추가했다. 국내 주류기업 입장에서는 새로운 수출 장벽이 생긴 셈이다.

업계에서는 "최악의 경우 25%까지 관세가 오를 수 있었지만 일정 부분은 선방했다"고 자축하고 있다. 그러는 반면 이번 관세 조치는 현지 소비자가격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만큼 시장 경쟁력 약화에 대한 우려도 남아있다.

한국산 주류의 주된 수출품은 소주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대미 주류 수출액은 3423만달러(한화 약 477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했다. 그중 소주는 같은 기간 2.1% 늘어 1187만달러이다. 과일소주까지 포함한 주류는 13.6% 오른 총 1368만달러이다. 지난해에는 소주류 수출액이 사상 처음으로 2억달러(한화 약 2790억원)를 돌파했다.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4.3%로 가장 높았다.

국내 주류 기업들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이트진로(000080) 미국법인의 지난해 매출은 652억원으로 전년 대비 3.1% 신장했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하이트진로의 미국 수출액은 연평균 34%의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다. 하이트진로는 참이슬을 기반으로 과일소주도 현재 전 세계 80여개국에 수출 중이다.

지난해 롯데칠성음료(005300) 미국 법인 매출도 419억원으로 전년보다 27.7% 증가했다. 롯데칠성음료는 '새로', '순하리' 제품군을 필두로 전 세계 주류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최근 4월 출시한 '새로 다래'도 미국, 중국, 동남아 지역에 수출할 계획이다. 롯데칠성음료의 과일소주 수출액은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연평균 20%의 성장 중이다.

오비맥주도 K-소주 시장에 본격 진입했다. 오비맥주는 수출 전용 소주 브랜드 '건배짠'을 론칭하고 내달부터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사업 확장에 나선다. 지난해 9월 오비맥주가 신세계L&B로부터 인수한 제주소주의 생산공장에서 '건배짠' 제품이 제조될 예정이다. 미국 수출용 브랜드로는 '찰랑'이 유력화되고 있다. 오비맥주는 기존의 맥주 수출 경로를 통해 수출에 나설 계획이다.

이처럼 국내 소주업계는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를 상대로 외형 확장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현지에서 부딪히게 될 관세 문제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 더군다나 하이트진로, 롯데칠성음료, 오비맥주 모두 현재까지는 국내 생산 시설을 기반으로 수출하기 때문에 관세 영향권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미국 내 대형마트에서 소주는 보통 1병에 5달러 안팎에 판매되고 있다. 식당에서는 10달러를 넘는 경우도 흔하다. 여기에 15% 관세가 반영될 경우 유통가와 소비자가의 동반 상승은 피할 수 없다.

일부 전문가들은 K-콘텐츠와 함께 글로벌 시장에서 소주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K-콘텐츠로 전 세계인들에게 소주를 알리고, 기업은 소주에 스토리텔링을 더해 해외 소비자들이 직접 찾아마실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며 "아울러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현지 물류 인프라, 유통망 등의 역량도 키워나가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트럼프 發 관세 15% 부과에 K-소주 수출 전선 '비상'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