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오픈AI가 주간 이용자 7억명을 눈앞에 두며 AI 시장 주도권 굳히기에 나섰다. 유료화에 성공한 구독 기반 수익 모델과 함께, 신형 언어모델 GPT-5 출격이 임박하며 ‘초격차’ 전략에 다시 시동이 걸렸다.
4일(현지시간) 오픈AI는 챗GPT 주간 활성이용자(WAU)가 이번주 중 7억명을 돌파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루 쿼리는 30억건을 넘었고, 유료 구독자는 지난 6월 300만명에서 7월 500만명으로 급증했다.
닉 털리 오픈AI 제품 담당 부사장은 “매일 사람들이 더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챗GPT를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상업화 성과도 뚜렷하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오픈AI의 올해 예상 연 매출은 200억달러에 달한다. 연간 반복 매출(ARR)은 지난해 55억달러에서 7월 기준 120억달러로, 1년 새 두 배 이상 성장했다.
챗GPT의 급성장은 전체 생성형 AI 시장 확산과도 맞물린다. 구글, 앤스로픽, xAI 등 경쟁사들도 고성능 신모델을 앞세워 추격 중이다. 오픈AI는 이에 대응해 GPT-5 공개를 예고하며 시장 선도 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GPT-5를 써보며 내가 쓸모 없다고 느꼈다”고 말하는가 하면, 직접 챗GPT의 새로운 답변을 공개하는 등 이례적인 사전 마케팅을 이어가고 있다. 개발진 인터뷰에선 GPT-5에 ‘범용 검증기’ 도입 사실이 알려지며 품질 강화 기술이 적용됐다는 분석도 나왔다.
일각에서는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서 금메달급 성적을 기록한 미공개 모델이 GPT-5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테크업계는 이르면 이번주 중 GPT-5가 공식 발표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