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데일리 = 이보라 기자]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가 반토막 나면서 은행권이 가계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에 이어 전세대출까지 빗장을 걸면서 실수요자들은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이날부터 대출모집인을 통해 9월 중 실행 예정인 주담대와 전세대출 신규 접수를 중단한다. 10월 이후 실행 예정 건은 신청할 수 있다.
하나은행은 “자율적 가계대출 관리의 일환으로 주택시장 안정화와 연중 안정적인 금융 공급 유지를 위해 지난 6월 26일부터 대출모집법인별 신규 취급 한도를 선제적으로 부여해 왔다”며 “기존 접수 건은 정상대로 실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신한은행은 6일부터 조건부 전세자금대출 취급을 10월까지 한시적으로 제한한다. 전세대출도 1주택 이상 보유자와 대출 갈아타기 용도를 각각 제한한다. 단 6일 이전 계약서 작성과 계약금 입금을 마치거나 직장 이전이나 자녀 교육, 질병 치료 등으로 주거를 이전하는 경우에는 심사 후 예외를 인정한다.
기업은행도 전날부터 전세대출에 대한 대출모집인 접수를 받지 않고 있다. 농협은행도 9월 실행분까지 대출모집인을 통한 주담대와 전세대출 접수를 받지 않고 있다.
전세대출뿐 아니라 신용대출도 조이고 있다. 우리은행은 일부 신용대출 상품에 분할상환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우대금리 조건을 개편했고 국민은행은 1일부터 ‘KB 직장인든든 신용대출’ 시리즈 3종을 판매 중단했다.
은행권이 대출 문턱을 높이는 이유는 6·27 부동산 대책으로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가 절반으로 감소한 탓이다. 은행권은 지난 6월 28일 이후 일제히 수도권 조건부 전세대출 취급을 중단했다.
6월 말 이후 가계대출 증가세는 한풀 꺾였지만 아직도 높은 수준이다. 지난달 말 기준 5대 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603조9702억원으로 전월 대비 4조5452억원 늘었다. 5조7634억원이 늘었던 지난 6월과 비교해 증가폭이 1조원 이상 줄었다.
다만 은행권이 대출을 까다롭게 취급하면서 실수요자의 피해로 이어진단 우려가 나온다. 이미 6월 말부터 주담대가 6억원까지로 제한되고 신용대출 한도도 연소득 이내까지로 줄었다. 이에 지난달부터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가 시행되면서 전 금융권에서 대출 가능한 금액 자체가 줄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갑작스럽게 규제가 강화되면서 일부 시장 혼란이 일어나고 있다”며 “실수요자들에게 피해가 돌아가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