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불법 주식 투자 리딩방을 단속한 결과, 카카오톡에서 최근 10개월간 적발된 계정이 5만2000건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온라인 플랫폼이 자율규제를 본격 도입한 이후 투자 사기 차단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5일 금융감독원은 카카오와 구글이 시행 중인 불법 금융광고·투자권유 자율 규제를 통해 이용자 보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지난해 8월 자본시장법 개정안 시행에 맞춰 모든 주식 리딩방 개설을 금지하고, 투자 권유 메시지를 AI로 탐지하는 ‘페이크 시그널’ 기능도 도입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8월부터 올해 6월까지 카카오톡에서 불법 리딩방을 운영한 계정은 약 5만2000건으로 집계됐다. AI 경고 기능 도입 후 투자 사기 의심 계정에 대한 제재 건수도 같은 기간 22만1000건으로 급증했다. 이는 전년 동기(13만건) 대비 70% 이상 증가한 수치다.
구글은 지난해 11월부터 ‘금융서비스 인증(FSV)’ 절차를 도입해 인증된 광고주만 금융 광고를 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있다. 금융사 또는 유사 금융업체는 광고 전 사전 심사를 받아야 하며, 비인가 업체는 별도의 적절성 검증을 통과해야 한다.
이후 6개월간 구글 플랫폼 내 금융광고 관련 월평균 신고 건수는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플랫폼의 자율규제가 불법 금융광고 차단에 실질적 효과를 보이고 있다”며 “다른 온라인 플랫폼과도 협의해 업계 전반으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