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방금숙 기자] 올해 2분기 국내 주요 화장품 기업들의 실적이 극명하게 엇갈렸다. 아모레퍼시픽은 국내외 시장에서 고른 성장을 보이며 ‘깜짝 실적’을 기록한 반면, LG생활건강과 애경산업은 채널 구조조정과 소비 위축 등 여파로 부진한 흐름을 이어갔다.
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화장품 기업 가운데 아모레퍼시픽의 성과가 두드러진 2분기였다.
아모레퍼시픽 그룹은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80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55.5% 급증했다. 매출도 8.9% 증가한 1조950억원을 기록했다.
주력 계열사 아모레퍼시픽은 국내외 전 부문에서 고른 성과를 내며 매출은 11.1%, 영업이익은 17배 이상 늘었다.
국내에서는 설화수·프리메라·미쟝센·일리윤 등 주요 브랜드가 디지털 채널과 멀티브랜드스토어(MBS)를 중심으로 실적을 견인하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8.2%, 164% 증가했다.
해외 사업도 호조를 보이며 매출은 14.4%, 영업이익은 611% 급증했다. 미주·EMEA(유럽·중동)·중화권 등 주요 시장에서 모두 고성장을 기록했고, 중화권은 거래 구조 개선 효과로 두 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북미와 유럽에서는 라네즈·이니스프리·에스트라 등 브랜드가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고, 자회사 이니스프리·에뛰드·에스쁘아·오설록도 브랜드 전략 재정비와 유통 다변화를 통해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

반면 LG생활건강은 시장 경쟁 심화와 채널 구조조정 부담이 겹치며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다.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1조6049억원, 영업이익은 54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8%, 65.4% 감소했다.
핵심인 화장품 부문은 6046억원의 매출과 163억원의 영업손실로 적자 전환됐다. 면세점·방문판매 등 전통 채널 구조 재편과 원가 부담 증가가 악영향을 미쳤다.
생활용품(HDB) 부문은 북미·일본에서 프리미엄 브랜드 성장이 이어지며 매출은 2% 증가했지만, 고정비와 마케팅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은 7.1% 감소했다. 음료 부문도 장마와 소비 둔화 여파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4.2%, 18.1% 줄었다.
LG생활건강은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자사주 31만5738주를 소각하고, 중간배당을 주당 1000원으로 결정했다.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인수합병(M&A)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애경산업은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1713억원, 영업이익 11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 36.1% 감소했다. 다만 1분기와 비교하면 중국 시장 회복세에 힘입어 각각 13.4%, 84.6% 개선됐다.
화장품 부문은 틱톡 왕홍 마케팅과 에이지투웨니스(AGE20’S) 신제품 성과가 반영되며 전 분기 대비 회복세를 보였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고성장 기저 영향으로 각각 14.4%, 45.7% 감소했다.
생활용품 부문은 쿠팡·네이버 등 디지털 채널의 호조와 중국에서의 케라시스 프로폴리스 판매 확대에 힘입어 5.9% 성장했으나, 브랜드 투자 확대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16.7% 줄었다.
애경은 하반기 프리미엄 제품군 강화, 글로벌 시장 다변화, 성장 채널 플랫폼 강화 전략을 통해 수익 중심의 성장을 도모할 방침이다.
화장품업계 관계자는 “국내 소비 위축과 고환율, 원가 상승 등 삼중고 속에서 브랜드 고급화와 글로벌 채널 확대가 실적 반등의 핵심이 될 것”이라며 “아모레퍼시픽처럼 구조 재편에 선제적으로 나선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간의 실적 격차는 하반기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