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론 특별자유화구역 3회 연속 지정 쾌거..."K-드론 선도도시 입지 굳힌다"
■ "서해의 독도, 격렬비열도 지킨다" 가세로 태안군수, 국가연안항 개발 예산 정부에 재차 요청

[프라임경제] 충남 태안군이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제3차 드론 특별자유화구역'에 포함되며 2021년부터 3회 연속 지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이번 지정은 드론 산업의 기술 실증과 서비스 모델 상용화를 촉진하기 위한 조치로, 드론 특별자유화구역으로 선정된 지역은 향후 2년간 △비행 승인 △특별비행 승인 △항공안전성 인증 등 6종의 드론 관련 비행 규제에 대해 면제 또는 간소화 혜택을 받는다.
태안군은 앞선 1·2차 지정을 통해 공공부문에서 드론 활용 범위를 확장하고 다양한 기술 실증을 수행하며 국가 드론 산업 발전에 기여해왔다.
군은 국내 최대 규모의 드론 전문시설인 '태안군UV랜드'를 중심으로 드론 기술의 실용성을 높이고 지역의 지리적·환경적 한계를 극복하는 스마트 솔루션으로 드론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드론 산업 기반 인프라 확충과 제도적 틀을 마련해 향후 UAM(도심항공교통) 기반 교통망을 구축하고, 관련 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지역 특화 산업과의 융합으로 장기적 성장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방침이다.
특히, 태안군UV랜드를 거점으로 드론 전문성을 더욱 강화하고 다양한 드론 관련 사업을 유치해 지역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키운다는 전략이다.
가세로 태안군수는 "이번 지정으로 '특별감항증명'과 '무인항공기 비행허가' 등 2건의 신규 특례를 포함한 총 6건의 규제 특례를 확보했다"며 "드론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산업인 만큼 태안군이 선도 지자체로서 앞장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서해의 독도, 격렬비열도 지킨다" 가세로 태안군수, 국가연안항 개발 예산 정부에 재차 요청
가세로 군수, 해수부에 설계비 26억 반영 촉구 "해양영토 수호·국가안보 위한 항만개발 시급"

가세로 태안군수가 서해 영해기점 도서인 격렬비열도의 국가관리 연안항 개발 사업을 위한 예산 반영을 정부에 재차 요청했다.
태안군은 가 군수와 군 관계자들이 지난 7월30일 정부세종청사를 찾아 해양수산부 항만국장 등을 만나 격렬비열도 연안항 개발 사업의 실시설계비 26억원을 내년도 예산에 조속히 반영해 줄 것을 건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면담에서는 긍정적인 답변을 이끌어낸 것으로 전해졌다.
군의 이번 방문은 '태안의 섬'이자 '서해의 독도'로 불리는 격렬비열도의 전략적 중요성을 부각하고,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영토관리를 위해 연안항 기능 강화를 촉구하기 위한 취지에서 추진됐다.
격렬비열도는 지난 2022년 7월4일 국가관리 연안항으로 지정됐으나, 지난해 개발계획 고시가 지연되면서 올해 정부 예산에 설계비가 반영되지 못했다. 이에 따라 가 군수는 지난 2월에도 해수부 장관을 직접 만나 예산 반영을 요청하는 등 지속적으로 발품행정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는 공유수면매립 기본계획이 지난 6월 고시됐고, 국가관리 연안항 개발계획도 하반기 중 고시될 예정이어서 관련 행정절차의 걸림돌은 모두 해소된 상태다. 군은 이를 근거로 예산 반영과 항만개발에 더욱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가세로 군수는 "중국과 최인접한 무인도서인 격렬비열도는 해양영토 수호와 국가안보의 전략적 요충지로, 해양경비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안항 개발이 시급하다"며 "국가의 실질적인 관심과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격렬비열도는 태안군 안흥항에서 서쪽으로 약 55km 떨어져 있으며, 대한민국 영해기점 23개 도서 중 하나이자 배타적 경제수역(EEZ) 인근의 군사적·지리적 요충지로 꼽힌다.
태안군은 지난 2022년 국가관리 연안항 지정을 이끌어낸 데 이어, 매년 7월4일을 '격렬비열도의 날'로 지정해 관리하는 등 지역적 차원의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가세로 태안군수는 "서해 해양영토 보전을 위한 연안항 개발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국가 과제"라며 "태안군민의 뜻을 모아 격렬비열도 항만 개발이 조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끝까지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