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뉴욕증시가 혼조세로 거래를 마감했다. 예상대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5회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투심이 약해졌으나, 긍정적인 빅테크 실적을 소화하며 나스닥은 상승했다.
현지 시간으로 30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71.71p(-0.38%) 내린 4만4461.28을 기록했다.
대형주 중심의 S&P 500 지수는 7.96p(-0.12%) 떨어진 6362.90에 마감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1.38p(0.15%) 오른 2만1129.67로 장을 마쳤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4.25~4.5%로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5회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동결하기로 한 것이다.
물가 우려가 여전한 데 비해 경기 여건은 견조하다고 평가하며, 금리 인하의 시급성이 높지 않다는 점을 시사했다. 특히 9월 FOMC에서는 아직 결정된 바가 없으며, 관세의 영향을 파악하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장중 상승세를 이어가던 뉴욕 주식시장은 해당 발언을 매파적으로 해석하고 하락세로 돌아섰다. 다만 기자회견 말미, 파월 의장이 다음 회의에서 통화정책을 중립 수준으로 조정할 수 있다는 취지로 발언하자 시장은 일부 반등을 시도했으나 제한적이었다.
이날 발표된 경기지표도 좋았다. 미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속보치는 3.0%로 집계돼 예상치(2.6%)를 크게 웃돌았다. 미 고용정보업체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의 7월 민간 고용 수치 역시 10만4000명을 기록, 시장 전망치(7만6000명)를 상회했다.
다만 장 막판 마이크로소프트(MS)와 메타의 실적 개선 기대감이 확산되면서 일부는 낙폭을 모두 만회했다.
메타는 올 2분기 매출이 475억 달러, 주당순이익(EPS)은 7.14달러라고 발표했는데, 이는 금융정보업체 LSEG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수치였다. MS도 2분기 매출 764억4000만 달러, EPS는 3.65달러라고 발표했는데, 이 역시 LSEG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다.
이 외에 스타벅스, 허시, 크래프트 하인즈 등 음식료 업체들도 호실적을 발표했고, 반도체 장비업체 램 리서치도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엔비디아는 장중 변동에도 불구, 2%대 강세를 지속하며 신고가 랠리를 연장했다.
국채 금리는 견조한 경기지표와 매파적인 FOMC 결과를 소화하며 상승했다. 경기 동향을 잘 반영하는 10년물은 전일 대비 5bp가량 오른 4.37%에 마감했다.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 금리는 7bp 상승한 3.94%를 기록했다.
달러는 이날도 상승, 100pt 선에 바짝 다가섰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는 0.98% 상승하며 지난 5월29일 이후 약 두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제유가는 트럼프 대통령의 더 강해진 대러시아 제재 압박에 3일 연속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9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0.79달러(1.14%) 상승한 배럴당 70달러로 거래를 마감했다.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9월물 브렌트유도 전장 대비 0.96달러(1.32%) 오른 배럴당 73.74달러에 장을 마쳤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가 10일 내로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진전 노력을 보이지 않으면 고강도의 경제 제재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경고했다. 이는 기존 50일 시한보다 크게 앞당겨진 것이다. 그는 러시아산 원유를 수입하는 국가들에 대해 100%에 달하는 2차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유럽 증시는 일제히 상승했다. 프랑스 파리 증시 CAC 40 지수는 전일 대비 0.06% 오른 7861.96에 거래를 마감했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 지수는 전장 대비 0.26% 상승한 5393.18을 기록했다.
영국 증시 FTSE 100 지수는 0.01% 뛴 9136.94로 거래를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전일 대비 0.19% 상승한 2만4262.22에 거래를 마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