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업계 "코스닥 3000 시대 실현, 정책적 지원이 열쇠"

마이데일리
(왼쪽부터)송병준 벤처기업협회장, 이동훈 코스닥협회장, 김학균 한국벤처캐피탈협회장이 30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상생룸에서 코스닥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안 기자간담회를 열고 '코스닥 3000 시대'를 위한 정책 로드맵을 촉구하고 있다. /벤처기업협회

[마이데일리 = 심지원 기자] 벤처기업과 벤처캐피탈 업계가 '코스닥 3000 시대'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 비전과 로드맵 수립을 정부에 요구했다.

벤처기업협회·코스닥협회·한국벤처캐피탈협회는 30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공동 기자간담회를 열고 정부의 '코스닥시장 활성화 로드맵' 수립을 촉구했다.

송병준 벤처기업협회장은 "코스닥은 코스피와 유사한 규제, 경직된 심사 기준, 지나치게 보수화된 기술특례상장 제도 탓에 혁신기업의 진입 자체가 어려운 구조"라며 "'진입은 유연하게, 퇴출은 엄정하게'라는 다산다사(多産多死) 원칙으로 민간 주도의 책임형 상장 구조를 도입하고, 성장 가능성 중심의 질적 심사로 전환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코스닥 3000 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현 시점의 코스닥 시장의 새로운 역할 정립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회수시장의 정체는 결국 창업과 투자의 선순환을 막고 있으며, 이를 구조적으로 바로잡기 위한 시장중심의 코스닥 구조개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동훈 코스닥협회장은 "코스닥 시장은 단기수익을 추구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는 개인투자자 비중이 65%에 달한다"며 "장기 투자자인 국민연금의 상징성을 고려해 시가총액의 약 3%를 코스닥 투자 최소 비율로 제도화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어 "코스닥 상장주식을 장기 보유할 경우 배당소득 세율 추가 인하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학균 한국벤처캐피탈협회장은 "정부의 창업 지원을 회수 영역까지 확대해 관련 정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며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장기 기관투자자 중심으로 체질 개선을 위해 '코스닥 활성화 펀드' 조성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세 단체는 △민간 중심 상장구조 개선 △법정기금 벤처투자 의무화 △장기투자 세제 혜택 확대 △코스닥 활성화 펀드 도입 등 정책 실행을 위해 정부·국회·금융당국과 협의를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벤처업계 "코스닥 3000 시대 실현, 정책적 지원이 열쇠"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