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최주연 기자] 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기존 전망치였던 1.0%에서 0.8%로 하향 조정했다. 주요 선진국 성장 전망이 상향 조정된 것과 상반된 결과로, 국내 정치 및 글로벌 통상 불확실성 등으로 인한 부진했던 상반기 실적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3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가 발표한 7월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에서는 한국의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0.8%로 수정 전망했다고 밝혔다.
지난 4월 전망치(1%)보다 0.2%포인트(p) 하락한 수치다. IMF는 매년 4월과 10월 전체 회원국의 경제 전망이 담긴 보고서를 발표하고 1월과 7월에는 주요 30개국을 상대로 수정 전망치를 낸다.
한국의 경제 상황과는 반대로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은 기존 2.8%에서 0.2%p 오른 3.0%로 상향 조정됐다. 한국을 포함해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IMF가 분류한 선진국 그룹 전체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1.4%에서 1.5%로 0.1%p 상향 조정됐다. 선진국 주요국의 성장률 조정 추이는 △미국 1.8→1.9% △영국 1.1→1.2% △독일 0.0→0.1% △일본 0.6→0.7%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IMF 전망은 국내 주요 기관 전망치와 동일했다. 최근 한국은행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8%로 하향 조정했다. 지난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올해 1%로 내려 잡았다.
다만 IMF는 내년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1.4%에서 1.8%로 0.4%p 상향 조정했다. 이는 한은·KDI·아시아개발은행(ADB) 등 주요 국내외 기관이 전망한 1.6%보다 높다.
IMF는 이번 보고서 본문에 한국의 성장률 조정과 관련한 내용을 담지 않았다. 다만 기획재정부는 라훌 아난드 IMF 한국 미션단장이 별도로 "올해 한국의 성장률 전망 하향 조정은 국내 정치 및 글로벌 통상 불확실성 등으로 예상보다 부진했던 상반기 실적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이어 아난드 단장은 "올해 하반기부터 점진적 경기회복세가 시작돼 내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며 "이는 두 차례 추가경정예산을 포함한 완화적 정책 기조, 국내 정치 불확실성 해소에 따라 2분기 중반 이후 소비 및 투자 심리가 개선된 데에 힘입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