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충청남도가 청양·부여군에 추진 중인 '지천 기후대응댐' 건설과 관련해 주민 과반의 찬성 여론을 바탕으로 정부 설득에 나서는 한편, 주민 지원을 포함한 종합대책 수립에 본격 착수했다.

김영명 충남도 환경산림국장은 28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기록적인 폭우로 도내 피해액이 3664억원에 달한다"며 "서산·예산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됐고, 청양·부여 등 8개 시·군도 추가 지정을 요청한 상태"라고 밝혔다.
이어 "집중호우와 가뭄은 반복적이고 일상화된 기후위기로, 기존 방식과는 다른 근본적인 물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며 "지천댐은 물 부족과 재해에 동시에 대응할 수 있는 핵심 해법"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지천댐 건설 후보지인 청양과 부여는 반복된 자연재해로 최근 몇 년 사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수차례 지정됐으며, 올해 역시 청양 115억원, 부여 97억원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또한, 환경부가 수립한 '금강권역 수자원 관리계획'에 따르면 2030년 기준으로 약 2억톤의 생활·공업용수가 부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청양·부여 지역 역시 2015년부터 지속적인 가뭄으로 제한급수 등 가뭄대책을 시행해왔다.
김 국장은 "지천 지역은 수량이 풍부하고 지형적으로 댐 건설에 적합한 지역"이라며 "댐이 건설되면 1900만톤의 홍수조절과 연간 5500만 톤의 용수 공급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정책 추진의 배경에는 긍정적인 여론도 있다. 대전일보·중도일보·충청투데이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청양·부여 주민의 62.9%가 댐 건설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양 장평면과 부여 은산면은 각각 73.3%, 74.1%의 찬성률을 기록해 해당 지역의 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찬성 이유로는 △지역경제 발전 △물 부족 문제 해결 △홍수 예방 △인구소멸 해소 △관광자원화 등이 꼽혔으며, 반대 이유는 △환경·생태계 영향 우려 △농축산 피해 △규제 및 갈등 유발 △이주 문제 등이 제기됐다.
충남도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천댐 건설을 단순한 수자원 인프라가 아닌, 지역 발전과 주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으로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주민 수익사업 발굴 △이주대책 △생태 보전 △관광 활성화 등을 포함한 '지천댐 종합지원 방안'을 수립하고, 지역협의체 운영을 통해 주민과의 소통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김영명 국장은 "지천댐은 단순한 물관리를 넘어 충남의 주거·산업·농축산·관광을 아우르는 100년 전략"이라며 "이 사업이 갈등이 아닌 번영의 시작이 될 수 있도록 도정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