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한화시스템이 국내 주요 보험계리법인 두 곳과 협력해 생명보험사 전용 경험위험률 산출 시스템 구축에 나섰다.

한화시스템 ICT 부문은 서울보험계리법인 및 보험계리법인써미트와 23일 ‘생명보험 경험위험률 산출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세 회사는 보험계리 분야 전문성과 IT 구축 역량을 결합해 생명보험사에 특화된 경험위험률 산출 시스템 개발에 집중한다.
서울보험계리법인과 보험계리법인써미트는 다수 보험사 사업에 대한 전문적인 컨설팅과 업무설계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대규모 보험 IT 시스템 구축 경험과 방대한 보험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IT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경험위험률은 각 보험회사의 실제 사고 발생과 보험금 지급 경험을 분석·집계해 위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수치다. 이 수치는 고객이 합리적인 보험료를 부담하고 보험사가 재정 건전성을 유지하는 데 활용되는 주요 지표다.
그동안 생명보험업계는 보험개발원이 국내 생명보험회사 전체의 상품별 종류와 건수를 중심으로 산출한 위험률에 의존해 보험료를 책정해왔다. 그러나 보험 시장의 판매 수요가 종신보험 중심에서 건강보험 중심으로 전환되고 다양화됨에 따라 각 사의 통계에 기반한 더욱 정교한 위험률 산출 시스템 필요성이 대두됐다.
보험개발원은 오는 2028년 7월부터 기초통계 집적 방식을 상품별이 아닌 담보 유형별로 세분화할 계획이다. 기존 상품별 통계 집적 방식은 위험률 산출 시 특정 사고·질병·상해 관련 담보를 다시 추출해야 하는 비효율성이 있었다. 담보 유형별 통계 집적은 데이터 가공 절차를 줄여 보험통계 관리와 분석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생명보험사들은 보험개발원의 통계 방식 개편에 맞춰 기존 상품 구조와 보험금 지급 데이터 세분화 등 각 사의 경험통계에 기반한 정교한 위험률 산출 역량 확보가 시급하다. 한화시스템은 두 보험계리법인과 함께 경험위험률 산출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분석, 설계, 데이터베이스 구축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정병록 보험계리법인써미트 대표는 “이번 협력은 계리 전문성과 IT 역량 결합을 통해 보험업계 전체의 데이터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함승우 서울보험계리법인 대표는 “생명보험회사들이 보유한 방대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고객 친화적인 상품을 신속하게 시장에 제공할 수 있는 핵심역량 강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윤수 한화시스템 솔루션사업부장은 “이번 MOU는 생명보험 산업의 데이터 기반 혁신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한화시스템은 대량 데이터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다양한 보험 시스템을 개발 및 제공해 국내 보험사들의 경쟁력 높은 보험 상품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화시스템은 상품개발, 보험계약, 입출금, 보험회계 등 모든 보험업무 서비스를 올인원으로 제공하는 보험코어 솔루션 ‘W1NE’을 독자 개발했다. 또한 한화생명 차세대 시스템 구축 등 국내 보험사들의 다양한 보험 시스템 고도화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