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부산시가 북극항로 상용화 시대를 앞두고 해양물류 거점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시는 지난 22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부산 북극항로 개척 전담조직(TF)' 제2차 회의를 열고, 북극항로 허브도시 조성을 위한 연구용역 추진방향과 정책 제언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북극항로 상용화에 대응한 실효성 있는 정책 개발과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북극항로 허브도시 부산 조성을 위한 연구용역'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해당 용역은 지난 2월 TF 첫 회의에서 제기된 시급성에 따라, 올해 제1회 추가경정예산에 2억원을 반영해 착수됐다.
이날 회의에는 선사, 학계, 연구기관, 공공기관 등 해운물류 및 극지 연구 전문가 21명으로 구성된 TF 위원들이 참석했으며, 용역 수행기관인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성문 교수가 연구 개요와 추진계획, 협조체계 구축 방안 등을 발표한 뒤, 위원들과의 자유토론 형식으로 심도 깊은 자문이 이어졌다.
용역 주요 내용은 북극항로 거점도시로서 부산의 내외부 환경 분석, 부산항 물동량 수요 예측, 관련 정책 방향 설정 및 전략과제 발굴,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등으로, 특히 북극항로 운항 경험이 있는 선사의 의견과 해외 사례를 공유하며 실현 가능한 전략 수립에 초점을 맞췄다.
시는 연구용역과 TF 회의를 연계해 구체적 전략을 마련하는 동시에, 북극항로 진흥 인프라 구축에도 주력하고 있다. 시는 △부산항 친환경 복합에너지터미널 조성 △극지전문인력 양성 △북극항로 위원회 및 북극항로 진흥원 설립 등을 정부에 지속 건의하며 중앙정부와의 협력 기반 확대에 나서고 있다.
성희엽 시 미래혁신부시장은 "기후변화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에서 북극항로는 미래 전략 항로로 부상 중이다"며 "부산이 선제적으로 대응해 신해양산업과 글로벌 물류, 기후 데이터 기술 등 신성장 산업의 중심도시로 거듭날 수 있는 기회다"고 강조했다.
이어 "TF 회의 등을 통해 실현 가능한 정책과제를 지속 발굴하고, 연구용역과 연계한 해양경제영토 확장 전략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북극항로는 기존 수에즈운하 항로 대비 항해 거리를 약 30% 단축할 수 있어, 전 세계 해운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대체 항로다. 특히 부산은 지리적 이점과 항만 인프라를 바탕으로 북극항로 거점도시로서의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