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병원, 신장 재이식 수술로 말기신부전 환자에 새 삶

마이데일리
환자가 정병하 교수에게 전달한 감사편지. /서울성모병원

[마이데일리 = 이호빈 기자] "저의 인생에 또 다른 꽃이 피었습니다. 저에게 두 번의 기회는 오지 않을 줄 알았는데 다시 한번 저에게 소중하고 아름다운 꽃을 선물 받게 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합니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에서 두 번째 신장이식 수술로 새 삶을 시작한 50대 여성 경 모 씨가 장기이식센터에 감사 편지를 전했다.

경 씨는 20대 초반 말기 신부전을 진단받은 후 오랜 기간 혈액 투석을 받아왔다. 1999년 첫 번째 신장이식을 받으며 평범하고 건강한 일상을 기대했다. 하지만 이식 7년 만에 거부반응으로 인해 이식한 신장의 기능이 저하됐고 다시 투석치료를 시작하게 됐다.

한 번 이식을 받게 되면 콩팥에 대한 항체의 발생, 즉 '고도 감작(High sensitization)'으로 재이식이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경 씨 역시 첫 번째 이식했던 신장이 기능을 소실하자 항체가 발생했다. 오랜 대기기간 끝에 이식받을 차례가 됐지만, 항체로 인한 급성 거부반응이 발생할 위험이 있어 7번이나 이식수술 기회를 미룰 수 밖에 없었다.

올해 4월 환자와 유전자형이 비교적 일치하는 뇌사자로부터 신장이식을 받을 기회가 왔다. 항체에 대한 정밀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식 전 항체 주사 등 거부반응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를 받았다. 이식 후 2주 만에 건강한 상태로 퇴원했다. 3개월이 경과한 현재 거부반응과 합병증 없이 이식 신장 기능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정병하 신장내과 교수는 “신장투석이 길어지면 혈관 석회화와 같은 다양한 합병증의 발생으로 정작 이식받을 기회가 와도 건강 문제로 이식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은데, 환자분은 철저한 식이 조절을 비롯한 초인적 본인 관리를 해 왔기에 좋은 기회를 놓치지 않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이어 “새로운 생명을 선물해 주신 뇌사자와 유가족에게 다시 한 번 깊은 감사를 드리며, 지금도 힘든 치료를 견디시며 이식 차례를 기다리는 많은 환자분들에게 희망의 소식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서울성모병원, 신장 재이식 수술로 말기신부전 환자에 새 삶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