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창업부터 상장까지” …차바이오, CGB-CIC로 글로벌 바이오 생태계 연다

마이데일리
11일 경기도 성남시 차바이오컴플렉스에서 열린 'CGB-CIC'의 프리오픈 이벤트' 행사에서 한기원 차바이오텍 사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이호빈 기자

[마이데일리 = 이호빈 기자] “CGB-CIC를 아시아 바이오 혁신의 거점으로 만들어, 연구부터 글로벌 기술이전과 상장까지 전 주기를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으로 육성하겠습니다.”

한기원 차바이오텍 사장은 지난 11일 경기도 성남시 차바이오컴플렉스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CGB-CIC'의 프리오픈 이벤트'를 가졌다.

그는 “판교 제2테크노밸리에 건설 중인 'CGB'에 글로벌 바이오 오픈이노베이션 허브인 ‘CGB-CIC’를 설립하고 본격적인 입주기업 모집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CGB(Cell Gene Biobank)는 지상 10층, 지하 4층, 연면적 6만6115㎡(약 2만평) 규모다. 세포·유전자 치료제(CGT) 분야의 단일 시설로는 세계 최대 수준이다. CDMO(위탁개발생산) 시설과 cGMP(우수의약품 제조·관리기준) 설비, 줄기세포 바이오뱅크 등이 들어선다.

CIC(Cambridge Innovation Center)는 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혁신기업들이 입주해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사무공간과 실험실을 제공하는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이다. 미국 보스턴·케임브리지, 독일 베를린, 일본 도쿄·후쿠오카 등 전 세계 10개 도시에 센터를 운영한다. 맞춤형 프로그램과 산업 클러스터, 컨설팅을 통해 기술 상용화를 이끌고 있다.

차바이오텍은 CIC의 검증된 성공모델을 도입해, 바이오 벤처가 이곳에서 창업부터 글로벌 시장 진출까지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CGB-CIC는 맞춤형 공유·단독 오피스, 기업 규모별 다양한 실험실, 첨단 연구 장비, 휴식 공간과 편의시설 등을 갖춘다.

양은영 차바이오그룹 부사장은 “입주 기업은 최신 장비와 운영 전문팀의 상시 모니터링, 장비 유지보수, 안전 교육 등 체계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연구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누릴 수 있다”고 소개했다.

또한 “글로벌 제약사와 투자자들과의 전략적 협력 모델을 기반으로 해외 진출과 투자 유치 기회를 넓힐 계획"이라며 "입주 기업은 세계 10개 도시에 운영 중인 CIC 글로벌 캠퍼스도 별도 비용 없이 활용할 수 있어 입주 기업들의 글로벌 확장 발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CGB-CIC는 차바이오그룹이 보유한 글로벌 CDMO·임상시험 인프라와 유기적으로 연계돼, 입주 기업의 신약개발과 상용화를 실질적으로 지원한다.

입주 기업은 차그룹의 CGT CDMO 글로벌 생산 거점 6곳, 차 의과학대학교 실험동물센터, CHA 글로벌임상시험센터 등 인프라와 역량을 이용할 수 있다. 글로벌 제약사·투자사·협력 연구소·96개 병원으로 구성된 차병원 네트워크까지 연결되는 전략적 생태계를 활용해 기초연구부터 임상, 생산까지 전 주기에 걸쳐 지원받을 수 있다.

차바이오텍은 입주 기업에 연구개발에 필요한 시설과 장비뿐만 아니라 기술지원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제공해 CGT CDMO 잠재고객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1일 경기도 성남시 차바이오컴플렉스에서 열린 'CGB-CIC'의 프리오픈 이벤트' 행사장 전경. 양은영 차바이오그룹 부사장이 CGB-CIC 혁신 생태계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사진=이호빈 기자

이날 행사에서 발표자로 나선 강종균 동아ST 미국 오픈이노베이션센터장은 보스턴 CIC 입주 경험을 실제 예로 들었다.

강종균 센터장은 “보스턴 CIC에서는 단순한 이메일 대신 커피 한잔하며 자연스럽게 비즈니스 논의가 이뤄진다”며 “오픈이노베이션은 단순한 개방과 협업을 넘어, 차병원과 같은 전략적 파트너와 리스크를 나누며 빠르게 기술 혁신을 이뤄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판교 CGB-CIC도 연구개발부터 사업개발(BD), 생산, 허가까지 한 흐름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갖춰 매력적인 입주 환경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기수 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 투자본부장은 CGB-CIC 입주 기업에 대한 투자 의지를 밝혔다.

박 투자본부장은 “솔리더스는 바이오 전문 투자사로, 신약, 백신, 의료기기 등 전 주기에 걸쳐 투자해왔다”며 “현재 바이오 밸류에이션이 매력적인 수준까지 내려왔고, 투자심리도 반등하는 만큼 지금이 투자 적기”라고 강조했다.

솔리더스는 IBK캐피탈과 공동으로 1000억원 규모의 바이오 펀드를 결성 중이며, CGB 입주기업 발굴과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한기원 차바이오텍 사장은 “차바이오텍은 CGB-CIC를 아시아를 대표하는 바이오 오픈이노베이션 허브로 키우고, 세포·유전자치료제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며 “입주 기업들이 기술개발, 투자유치, 글로벌 진출까지 전 과정에서 차별화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프리미엄 혁신 플랫폼을 만들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현장] “창업부터 상장까지” …차바이오, CGB-CIC로 글로벌 바이오 생태계 연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