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비상계엄 사태에서 비롯된 대통령 탄핵과 조기대선으로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지 한 달여가 지난 가운데, 윤석열 정권에서 불거졌던 각종 의혹 및 문제들을 규명하고 처벌하기 위한 움직임이 속도를 내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 속에 대표적인 ‘친윤기업’으로 평가됐던 유진그룹의 ‘YTN 인수’를 둘러싼 문제제기도 끊이지 않고 있는 모습이다. 절차적 하자를 비롯해 각종 논란을 일으키며 유진그룹 품에 안겼던 YTN의 향방에 이목이 쏠린다.
◇ YTN 인수 둘러싼 숱한 논란… 이재명 정부 조치 ‘주목’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윤석열 정권에서 숱하게 불거졌던 의혹과 논란, 문제들을 청산하기 위한 움직임이 분주하게 이어지고 있다. ‘3대 특검’은 연일 수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윤석열 전 대통령은 10일 새벽 재구속돼 수감됐다.
이런 가운데, 윤석열 정부 시절 YTN을 인수하며 대표적인 ‘친윤기업’으로 지목됐던 유진그룹을 둘러싼 긴장감도 더욱 고조되고 있다.
‘방송장악 논란’은 윤석열 정부 시절 갈등과 대립, 혼란이 끊이지 않았던 사안 중 하나다. YTN 민영화 추진에 이은 유진그룹의 YTN 인수도 한 축을 형성했다. 오너일가의 불미스런 전력 등 유진그룹을 둘러싼 적격성 논란이 불거졌을 뿐 아니라 소위 ‘2인 체제’에서 속전속결로 승인이 이뤄지면서 문제제기가 쏟아졌다. 승인이 이뤄진 뒤에도 승인조건 위반, 정권유착 의혹 등으로 논란이 거듭됐다.
특히 유진그룹의 인수 직후 취임한 김백 YTN 사장은 곧장 YTN의 과거 김건희 여사 관련 보도에 대해 사과에 나서기도 했다. 김건희 여사와 관련해 차마 입에 담기도 민망한 내용인 한쪽의 일방적 주장만 수십 건 보도했다며 이를 ‘불공정 편파 보도’였다고 규정한 것이다. 하지만 해당 의혹은 현재 ‘김건희 특검’ 수사대상에 포함된 상황이다.

앞서도 거센 반발과 각종 의혹 및 문제제기, 그리고 법적대응 등을 이어왔던 YTN노조(언론노조 YTN지부)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더욱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난 2일부터 이틀 간 3차 파업에 나선 YTN노조는 대통령실에 ‘YTN 정상화 의견서’를 전달하기도 했다. 여기엔 YTN 민영화를 둘러싼 진상 규명 뿐 아니라 유진그룹의 최대주주 자격 취소도 요구사항으로 담겼다. 이재명 정부가 공약했던 ‘보도전문채널의 공공성 강화’를 이행하기 위해선 전 정권에서 발생한 YTN 관련 문제들을 해소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앞서 지난 1일에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역할을 하는 국정기획위원회 위원들이 YTN 사옥 로비에 마련된 노조 천막 농성장을 찾기도 했다. 이에 대해 국정기획위는 “보도전문방송 YTN은 민영화 과정에서 절차상의 하자가 문제된 바 있고, 민영화 이후에는 정치적 편향 등에 대한 논란이 지속돼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자리에서도 YTN노조는 유진그룹의 최대주주 자격을 취소해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김현 국정기획위 사회2분과 소위원장은 “구성원의 목소리를 직접 청취하고 개선 방안을 함께 모색할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다. 오늘의 소통을 바탕으로 공영방송이 정치적 중립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고, 국민의 방송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 충실히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유진그룹의 YTN 최대주주 자격 유지 여부는 안갯속에 놓이게 됐다. 특히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방송법 개정 추진이 빠른 속도로 전개되고 있는 만큼, YTN 관련 조치도 머지않아 이뤄질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린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