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생태계 해법 모색" 씨엔티테크 'C·FORUM 2025' 성료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국내 스타트업 투자 시장이 회복세에 접어든 가운데, 창업가와 투자자가 생존 이후 '검증 전략'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지난 3일 씨엔티테크(대표 전화성)는 카이스트(KAIST) 경영대학 Impact MBA, 조선비즈와 함께 'C·FORUM 2025'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공동 개최했다. 올해로 3회를 맞은 포럼에는 창업자, 투자자, 액셀러레이터(AC) 등 약 700명이 참석했다.

이번 포럼은 '시장은 다시 움직인다. 우리는 어떻게 검증하고 성장할 것인가'를 주제로 진행됐다. 타임라인은 인공지능(AI)·딥테크·임팩트 기반 스케일업·액셀러레이팅 사례 등 총 4개 세션과 1개의 기조 대담으로 구성됐다.


개회사를 맡은 전화성 대표는 "투자자는 감동보다 확신을 원한다"라며 스타트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뿐 아니라 그 해결 방식을 시장성과 수익성 측면에서 스스로 검증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특히 "AI나 딥테크처럼 난이도 높은 기술일수록 그 실현 가능성을 수치와 구조로 설명해야 한다"라며 "최근 투자 시장의 보수적 심사 기준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라고 부연했다.

기조 세션에서는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이 무대에 올라 AI 기술과 사회적 책임을 연결하는 창업 방향을 제시했다.

이 총장은 "AI는 기술 자체보다 어디에 어떻게 쓰이느냐가 중요하다"라며 "우리나라는 제조업이 강하므로 제조 시스템이나 헬스케어 분야에 특화된 AI 모델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좋은 회사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와 사회적 가치에 기반한 창업 정신에서 출발한다"라고 덧붙였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창업자 태도와 검증 전략이 논의됐다.

김문규 KAIST 교수는 "지금은 생존이 아닌 검증 중심 창업의 시대"라며 "기술력만으로는 설득할 수 없고, 고객을 납득시킬 수 있는 구조적 검증이 있어야 사업이 시작된다"라고 설명했다.
기업 문화와 리더십에 대한 이야기도 나왔다.

한명수 우아한형제들 CCO는 "성장기에는 열정이 모든 문제를 덮지만, 정체기에 접어들면 결국 리더의 태도가 조직의 지속가능성을 좌우한다"라고 말했다.

박서영 에스와이솔루션 대표 역시 "리더가 흔들리면 조직 전체가 불안해진다"라며 위기 상황에서 중심을 잡는 창업자의 내공을 강조했다.


김문규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두 번째 세션은 투자자 시선에서의 검증 기준과 AC의 역할에 초점을 맞췄다.

노태준 프라이머 액팅파트너는 "AC가 시장 초기에 얼마나 잘 검증하느냐가 벤처캐피털(VC)의 투자 여부를 결정짓는다"라며 "초기 창업 단계에서 AC가 신뢰를 만드는 게 가장 중요하다"라고 전했다.

이어 "기술력보다 더 중요한 것은 '확신을 줄 수 있는 구조'"라고 첨언했다.

정진호 더웰스 인베스트먼트 회장은 "요즘 투자 시장은 원금 보장 중심의 보수적 흐름이 강하다"라며 "창업자는 성공뿐 아니라 실패에서 회복할 수 있는 역량도 갖춰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이어진 세 번째 세션에서는 소셜 임팩트 기반 스케일업 전략이 소개됐다.

김정현 UD임팩트 대표는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만으로는 부족하다"라며 "임팩트와 수익 구조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투자 유치가 가능하다"라고 강조했다.

김한국 디에프알엔 대표는 "우리는 매출보다 고객의 행동 변화를 핵심 지표로 본다"라며 "데이터로 설득 가능한 임팩트가 더 큰 설득력을 갖는다"라고 전달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사회적 가치와 비즈니스 검증은 양립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또 접점을 찾아야 지속 가능성이 생긴다는 점을 강조했다.


마지막 세션은 씨엔티테크의 액셀러레이팅을 받은 스타트업 네 곳이 직접 무대에 올라 자신들의 성장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현준엽 로쉬코리아 대표는 "비즈니스 모델을 바꿔야 할지 고민하던 시기에 씨엔티테크의 투자가 방향성을 잡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라며 "결국 중요한 건 문제 해결의 지속 가능성"이라고 단언했다.

이수현 로맨시브 대표와 권미진 애그유니 대표도 "기술 초기부터 시장 진입까지, 전략적 멘토링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라고 입을 모았다.

포럼을 마무리하며 전화성 대표는 "창업가의 태도와 문제 해결 능력이 결국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결정한다"라며 "AC는 단순히 자금 공급 역할이 아니라, 기술과 사람을 연결해 성장을 이끄는 조력자여야 한다"라고 전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스타트업 생태계 해법 모색" 씨엔티테크 'C·FORUM 2025' 성료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