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확정급여(DB)형 퇴직연금이 전체 퇴직연금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지난해 수익률은 최하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퇴직연금 사업자들에게 적립금 운용 개선을 주문했다.
금융감독원과 고용노동부는 27일 오전 금융투자협회에서 퇴직연금 사업자들을 대상으로 DB형 퇴직연금 수익률을 개선하기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DB형은 회사가 근로자의 퇴직연금을 대신 운용·관리해주는 제도다. 반면, 확정기여(DC)형과 개인형퇴직연금(IRP)는 개인이 직접 자금을 운용하는 방식이다.
지난해 말 기준 퇴직연금 적립금은 총 431조7000억원으로, 이 중 DB형은 214조6000억원으로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그러나 같은해 DB형 퇴직연금의 연간 수익률은 4.04%로, 확정기여형(DC·5.18%), 개인형퇴직연금(IRP·5.86%)에 비해 낮은 성과를 보였다.
DB형 퇴직연금의 수익률이 낮은 이유는 DB 가입자인 각 회사 퇴직연금 담당자들이 적립금 운용에 대한 전문 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한 비전문가인 경우가 많고, 경영진도 적극적인 투자를 통한 수익보다는 손실에 따른 리스크를 회피하려는 보수적인 행태를 보여 적립금을 대부분 예금 등 원리금보장형상품에 맡기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퇴직연금사업자의 소극적인 태도도 꼬집었다.
금융감독원이 총 42개 퇴직연금사업자의 자체 DB 적립금 운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총 37개사가 자사 DB 적립금의 90% 이상을 원리금보장형상품으로 운용하고 있으며 그 결과 수익률도 4.37%로 DB 전체 평균 수준(4.04%)에 불과했다.
서재완 금감원 부원장보는 모두발언을 통해 "퇴직연금사업자들은 자체 DB 적립금을 합리적으로 운용하는 '솔선수범'의 자세를 견지하고 실적배당형상품에 적극 투자해달라"며 "담당 임직원에게 장기성과에 연동된 성과급을 지급하는 방안을 고려해달라"고 당부했다.
금감원과 노동부는 퇴직연금 수익률 개선을 위해 이 세미나를 시작으로 하반기에는 상장회사를 대상으로 DB형 퇴직연금 운용 관련 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