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밸런스는 우리 사회에서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거나 화제가 되는 이슈 및 정책을 대상으로 찬성론과 반대론이 한판 승부를 벌이는 논쟁터입니다. 양측 주장과 의견을 최대한 공정하고 충실히 전달함으로써 독자들의 정확한 판단과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주제는 “‘부산 이전 불가’ vs ‘부산 시민 염원 무시’…산업은행 부산 이전 논란 격화 ”입니다. 한국산업은행 본점 부산 이전을 둘러싼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날선 공방을 정리했습니다. <편집자 주> |
![]() |
▲국민의힘 부산선거대책위원회가 19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의 ‘산업은행 부산 이전 불가’ 발언과 관련하여 긴급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국민의힘 부산시당 |
20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부산선거대책위원회는 19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재명 민주당 후보가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 불가를 선언하며, 부산 시민의 염원을 무시했다”며 “불가능한 약속을 속여서 할 수는 없다는 변명까지 곁들였다”고 일갈했다.
선대위는 “산업은행 이전을 위한 행정적 조치는 이미 완료됐다”며 “2023년 5월 국토교통부가 산업은행을 부산 이전 공공기관으로 지정고시했고, 남은 것은 산은법 제4조제1항 소재지 조항 한 줄을 바꾸는 것뿐이었다”고 설명했다.
선대위는 또한 “박형준 부산시장의 산은법 개정을 위한 면담 요청을 거절하고 조롱했던 이재명 당시 대표의 행태를 부산 시민은 선명히 기억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부산시당의 태도 변화에 대해서도 비판을 이어갔다.
선대위는 “21대 국회 당시, 부산 민주당 국회의원들은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을 간절히 희망한다며 기자회견까지 열었다”며 “민주당 부산시당은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을 22대 총선 공약으로 삼았으나, 이재명 후보가 반대 입장을 밝히자 침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선대위는 “이재명 후보가 우선인가, 아니면 부산 시민이 우선인가”라고 반문하며 “산업은행 부산 이전이 불가능한 약속인지, 부산 글로벌허브 특별법에 힘을 실을 것인지 답하지 못한다면, 이재명의 민주당은 부산 시민의 열망을 선거용으로만 활용했다는 비난을 면하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김 후보는 지난 13일 오후 부산 소재 부산국제금융센터를 찾아 산업은행 본사 이전의 재추진을 강조했다.
김 후보는 “산업은행은 땅도 있고 법 통과만 하면 되는데 당연히 해야 하는데 왜 안해주나”라며 “세종시 같은 곳으로 가면 대통령 집무실도 옮겨라. 옮기겠다고 했다. 부산시에는 산업은행이 못 옮길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대통령 집무실이나 국회가 옮기는 것은 위헌 시비가 있는데 산업은행 이전은 아무 논란이 없는데도 안 옮기는 것은 무시하는 것이 아니냐”라며 “산업은행은 정책금융으로 시중 은행과 역할이 다르니 여기에 있으나 저기에 오나 상관이 없다”라고 강조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