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위크=손지연 기자 국민의힘 지도부가 ‘김문수-한덕수 단일화’에 진척이 없자 당헌 제74조의 2를 근거로 한덕수 전 국무총리로 ‘후보 교체’를 강행했지만 당원 투표 부결로 무산됐다. 김문수 당 후보는 '한덕수 단일화'를 두고 벌어진 당권 싸움에서 승리하며 후보직을 보전하게 됐다.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권영세 의원은 비상대책위원장직에서 물러났지만 권성동 원내대표는 직을 유지하게 됐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를 비롯한 친한(친한동훈)계는 절차적 정당성을 잃어 실패로 끝난 후보 교체 시도를 ‘친윤 쿠데타’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후보 교체를 주도한 이들의 의원직 사퇴와 정계 은퇴까지 요구하고 나섰다.
김종혁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당헌당규를 비합리적이고 비이성적인 방법으로 농단하게 되면 그것도 쿠데타라고 생각한다. 이것은 당내 쿠데타”라며 “그 쿠데타의 주역들은 의원직도 사퇴하고 정계에서 은퇴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전 최고위원은 “헌법질서를 물리력으로 동원해서 파괴하는 것을 쿠데타라고 한다”며 “지난 10일 새벽 2시 반에 후보 교체를 선언하고 3시부터 4시 사이에 32가지에 대한 항목을 한 전 총리 혼자서 다 가지고 와서 등록한 것은 ‘당내 쿠데타’”라고 했다.
앞서 국민의힘은 당원 대상 ‘단일화 찬반 조사’를 실시해 82.82%의 당원들이 단일화에 찬성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지도부가 단일화를 종용하며 자신을 끌어내리고 ‘후보 교체’를 진행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이에 법원을 향해 ‘후보자 지위 확인’ 가처분 신청까지 제출했지만 기각됐다. 김 후보의 전략이 공수표로 돌아간 셈이다.
이에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와 선거관리위원회는 자체 의결을 통해 김 후보의 선출을 취소하고 한 전 총리를 후보로 등록했다. 이들은 이런 결정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지난 10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전 당원을 대상으로 대선 후보를 한 전 총리로 변경하는 건에 대한 찬반 ARS 조사를 실시했다. 하지만 투표 결과 후보 변경 반대 의견이 더 많았고, 후보 교체 시도는 무산됐다.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서 김 후보와 3차 경선을 치른 한 전 대표는 이같은 당 지도부의 행태를 ‘친윤 쿠데타’라고 일갈했다. 한 전 대표는 전날(11일) 페이스북에서 “결국 당원들께서 직접 친윤들의 당내 쿠데타를 막아주셨다”며 “당을 이 지경으로 몰고 간 사람들은 모두 직함을 막론하고 즉각 사퇴하고 제대로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 전 최고위원은 당원들이 ‘후보 교체’를 부결시킨 것은 절차적 정당성 없는 방식에 거부감을 느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80% 이상이 한 전 총리로 단일화하자고 얘기했지만 그때 투표율이 30% 정도였다”며 “그분(한동훈 지지자)들은 (후보 교체) 투표를 안 하겠다는 입장이었지만 한 전 대표와 저희가 당원들이 의사를 표시해야 된다고 적극적으로 독려에 나섰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아무리 한 전 총리가 더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하더라도 이런 절차적 정당성을 무너뜨리는 쿠데타적인 방식으로는 안된다는 거부감과 당내 4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한동훈 지지자’들의 적극적인 참여 (때문)”라며 “당내 지도부는 ‘우리가 이렇게 밀어붙이는데 그냥 (후보 교체로) 가겠지’ 생각했을 텐데 완전히 이변을 연출했다”고 평가했다.
당원들의 반대로 '후보 교체'가 무산되자 권영세 의원은 책임지고 사퇴했지만 권성동 원내대표는 자리를 지켰다. 김 후보가 이를 용인하면서다. 김 전 최고위원은 김 후보가 당내 세력이 없기 때문에 이런 선택을 했다며 주류에 편승하는 셈이라고 일침했다.
그는 "김 후보로서는 (당내) 아무런 세력이 없는 사람으로서 개혁이나 쇄신 이런 쪽을 앞세우기보다는 결국은 한솥밥으로 함께 해왔던 분들과 편안한 방법으로 가는 게 낫겠다고 생각한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