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김문수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와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간의 단일화 협상이 끝내 결렬됐다. 이에 국민의힘 지도부는 후보자 교체 작업에 돌입할 전망이다. 지도부는 당헌을 들어 후보 교체의 정당성을 역설하고 있다. 하지만 김 후보 측이 후보 등록 강행을 예고하면서 법적공방 등 후폭풍은 물론 '유명무실'하다는 비판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10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문수 후보와 한덕수 후보는 전날밤 두차례 단일화 실무협상을 가졌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양측은 단일화를 위한 여론조사 방식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후보 측은 지지 정당과 상관없는 여론조사를 주장했으나 한 후보 측은 당원 50%, 역선택 방지 조항 적용된 여론조사 50%를 고수했다.
김 후보 측 김재원 비서실장은 "한 후보가 모든 것을 양보하겠다고 했지만, 결국 양보하지 않았다"며 "가증스러운 거짓말이 드러나는 현장이었다"고 비판했다.
또 "무슨 이유로 무소속 후보와 (단일화를 하는데) 정당 선호 여부 질문을 (여론조사에) 넣어야 하나"라고 의문을 드러내기도 했다.
한 후보 측 손영택 전 국무총리 비서실장은 "국민의힘 후보를 뽑는 과정에서 이재명 후보 지지자들이 참여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원칙"이라며 "이를 어기고 협상이 진행되긴 어렵다"고 강조했다.
2차 협상마저 결렬되면서 국민의힘은 후보 교체 작업에 들어갈 전망이다. 앞서 국민의힘 의원들은 전날 자정까지 단일화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비상대책위원회와 당 선거관리위원회를 소집해 후보 재선출 절차를 밟기로 결의했다.
윤상현 의원은 전날 국회에서 열린 심야 의원총회 후 기자들과 만나 "오늘 64명의 국회의원들이 표결했다. 반대하는 사람은 저하고 딱 2명"이라며 "(의원들이)압도적으로 찬성해서 후보자 교체 권한을 비대위에 옮기자고 했다"고 전했다.
이양수 국민의힘 사무총장의 설명에 의하면, 후보자 교체는 이날 저녁까지 진행되는 전당원 투표로 진행된다. 재선출된 후보에 대한 찬반을 묻는 방식이며 투표자 중 과반이 찬성할 경우 통과된다.
전당원 투표 이후에는 다시 비대위가 열려 결과를 확인한다. 이후 오는 11일 전국위원회에서 전국위원 과반의 동의를 받을 경우 모든 절차가 끝난다.
지도부는 당헌 제74조의 2 특례 규정인 '상당한 사유가 있는 때에는 대선후보 선출에 관한 사항을 비상대책위원회의 의결로 정한다'를 들어 후보자 교체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있다. 당원 조사에서 후보 등록 전에 단일화하라는 의견이 87%인 점을 '상당한 사유'라고 내세우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김 후보 측은 "내일 아침 후보 등록 절차에 돌입한다"고 못박은 상태다. 이에 단일화나 후보자 교체가 유명무실하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윤상현 의원도 "후보 교체를 당하는 김문수 후보는 가만히 있을까. 극렬 저항이 있을 것"이라며 "우리 당은 끝없는 법적 공방의 나락으로 추락해서 결국은 당 자체의 존립이 위태로운 지경까지 간다"고 우려했다.
한동훈 전 대표도 "친윤 지도부가 당비 내는 77만명 책임당원이 여러 단계로 참여한 경선을 무효화해 무리하게 김문수 후보를 끌어내리고 당원도 아닌 한덕수 후보로 교체하는 것은 정당 민주주의, 그리고 상식을 버리는 것"이라며 "우리 당을 웃음거리로 만들고 있다. 선출되지도 않은 비대위에 누가 그런 권한을 부여했나"라고 꼬집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