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남혜연 기자] 위기의 영화산업 시작일까. 상생일까.
멀티플렉스 2위와 3위인 롯데컬처웍스와 메가박스중앙이 8일 합병을 추진하면서 영화계에 변동이 시작됐다.
양측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중앙그룹과 롯데그룹이 영화 관련 계열사인 메가박스중앙과 롯데컬처웍스의 합병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면서 "영화산업을 대표하는 사업자간 빅딜을 통해 국내 시장을 선도하는 멀티플렉스 및 콘텐트 제작 회사가 탄생할 전망이다"고 밝혔다.
덧붙여 "양사는 극장 및 영화 사업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협의를 거쳐 주주사간 MOU를 체결했다"며 "현재 중앙그룹의 콘텐트리중앙이 메가박스중앙의 지분 95.98%, 롯데그룹의 롯데쇼핑이 롯데컬처웍스의 지분 86.37%를 보유하고 있다. 합작 법인은 양사가 공동 경영할 계획이며, 신규 투자유치 및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 심사를 최대한 신속하게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롯데컬처웍스는 롯데시네마(영화관)·롯데엔터테인먼트(투자배급사)·샤롯데씨어터(극장)를, 메가박스중앙은 메가박스(영화관)·플러스엠엔터테인먼트(투자배급사)·플레이타임중앙(실내 키즈 테마파크)을 주요 사업으로 한다. 이 가운데 주력 사업은 영화관과 투자배급이다.
양사가 영화관 뿐 아니라 한국 영화 제작 및 투자배급에서도 선도적인 입지를 확보하고 있는 만큼 콘텐츠 투자에서도 시너지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각사에서 확보한 IP와 축적된 제작 노하우를 활용하여 양질의 신규 콘텐트 투자를 강화하고, 개선된 수익을 시장 활성화를 위해 다각도로 재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한다는 것이 목표다.
중앙그룹 관계자는 “차별화된 상영 환경 구축, 안정적인 한국 영화시장 투자, 경쟁력 있는 콘텐트 확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사업 환경을 구축하겠다는 것이 이번 합병의 주요 골자”라며 “침체된 한국 영화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고객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궁극의 목표”라고 밝혔다.
야심차게 이번 합작 법인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를 바라보는 시선은 복잡 미묘하다. 영화산업은 코로나19 이후 꾸준히 내리막 길을 걸어온데다 콘텐츠를 소비하는 방식 많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전체 관객 수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의 절반가량인 1억2300만여 명을 기록하며 극장이 직격탄을 맞았다. 롯데시네마는 지난해 영업이익 3억원을 기록했고, 메가박스는 134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반면 업계 1위인 CGV는 759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롯데컬처웍스와 메가박스중앙의 합병은 이런 침체를 돌파하기 위한 자구책으로 풀이되지만, 거대 배급사의 합병이 또 다른 독과점을 양산하기 때문이다. 한 영화 관계자는 "현재 영화시장의 규모는 점점 줄어 들고 있다. 더군다나 OTT의 확장으로 극장가는 더욱 힘들어진 상황에 영화를 극장에서 상영하고자 하는 입장에선 투자를 받을 수 있는 곳이 줄어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결국 큰 영화들만 살아남는 구조가 되버렸다. 요즘은 OTT를 선호하긴 하지만, 작은 영화는 더욱 살아남기 힘들게 되버렸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반면, 위기의 영화산업에 돌파구를 찾는 방법인 만큼 양사의 이번 합병을 반기는 분위기도 있다. 한 영화 관계자는 "제작의 여건 그리고 콘텐츠 개발 및 극장가를 살리기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면서 "빅3라도 버텨 줘야 하지 않겠나. 지금 극장가는 살아남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한 가운데, 양사가 또 다른 큰 그림을 그린다면 한국 영화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고 내다봤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