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회 박용선 도의원 주도 해수담수화 국가사업 최종 선정…국비 354억 확보 쾌거

포인트경제

[포인트경제] 경상북도의회 '해수담수화 시설 발전연구회'(대표 박용선 의원)가 주도한 ‘디지털 담수화 플랜트 및 농축수 자원화 기술개발 사업’이 환경부 공모에서 최종 선정돼 총 354억 원 규모의 국비를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경북도의회 박용선 도의원. 사진= 박용선 도의원(포항5·국민의힘)(포인트경제)
경북도의회 박용선 도의원. 사진= 박용선 도의원(포항5·국민의힘)(포인트경제)

이번 사업 선정은 기후 위기에 따른 물 부족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한 경북도의회의 선제적인 정책 연구와 기술 전략 수립의 결실로 평가된다.

환경부가 처음 추진한 이 공모는 국가 물 안보 강화를 위한 대형 R&D 사업으로, 총 3개 컨소시엄이 경합을 벌인 가운데 경북연구원, 포스코 E&C, 국민대학교, RIST(포항산업과학연구원) 등 10개 기관이 참여한 경북 컨소시엄이 최종 선정됐다.

박용선 의원은 “해수담수화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기후위기 시대를 대비한 생존전략이자, 지역 경제를 견인할 핵심 인프라”라며 “경북이 전국 최초로 선도모델을 마련한 만큼, 향후 물 산업의 주도권 확보는 물론 산업용수 공급을 통한 기업 유치와 일자리 창출 효과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을 통해 경북은 디지털 기반의 저에너지 해수담수화 플랜트 개발과 더불어 농축수 재자원화 기술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포항을 세계적인 물 산업 허브로 육성하겠다는 청사진도 함께 제시됐다.

박 의원은 이번 성과를 위해 도의회 내 '해수담수화 시설 발전연구회'를 조직하고, 기초 조사부터 정책 연구, 기술 동향 분석,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까지 전방위적인 준비작업을 주도해왔다고 설명했다.

경북은 기존 내륙 댐 용수를 산업단지로 이관해 사용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동해안 해수를 산업용수로 전환하는 광역 자원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이 전략은 지역 물 부족 문제 해결과 동시에 지속가능한 산업 구조 전환에 기여할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무엇보다 해수담수화 기술은 중동 등 글로벌 물 부족 국가들과의 기술 협력 및 수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으며, 포항의 원자력 기반 전력 인프라와의 융합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한 모델로 발전할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박 의원은 “우리는 지금 ‘물 부족이 생존을 위협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며 “경북이 먼저 움직였고, 해수담수화는 단지 기술이 아닌 경북의 생명선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경상북도 해수담수화 시설 발전연구회'는 박용선 대표 의원을 비롯해 김대진, 이선희, 이춘우, 이형식, 최병준 의원 등 6명으로 구성돼 있으며, 2024년에는 경북연구원과 함께 해수담수화 시설 설치 및 운영 방안에 관한 정책연구를 수행해 왔다.

연구회는 앞으로도 도의회 차원의 정책 마련과 중앙정부의 규제 완화, 민간 협력 확대 등을 통한 ‘포항형 담수화 클러스터’ 구축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경북도의회 박용선 도의원 주도 해수담수화 국가사업 최종 선정…국비 354억 확보 쾌거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