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뉴욕증시가 강세를 보였다. 미중 무역 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됐고, 고용지표가 견조하게 발표되면서 경기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면서 투자심리가 개선됐다.
현지시간으로 2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보다 564.47p(1.39%) 상승한 4만1317.43을 기록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82.53p(1.47%) 뛴 5686.67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266.99p(1.51%) 오른 1만7977.73에 장을 마쳤다.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무려 9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다우지수는 2023년 12월, S&P500은 무려 2004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9거래일 연속 올랐다.
뉴욕증시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협상이 시작될 것이라는 기대와 고용 등 경제지표 호조로 투자심리가 살아났다.
중국 상무부는 지난 2일 공식 성명을 통해 "미국과의 무역 전쟁을 중단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트럼프 행정부가 "진정성을 보여줄 것"을 희망한다고 했다.
이에 증시는 빠르게 상승폭을 키웠다.
고용지표 또한 긍정적이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4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전월대비 17만7000명 증가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 13만명을 상회하는 수치다. 실업률 역시 예상치인 4.2%을 유지하며 고용시장이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전일 장마감 후 예상을 상회하는 1분기 실적을 내놓은 애플과 아마존은 주가가 각각 3.74%, 0.12% 하락했다.
애플은 관세로 인해 이번 분기에 9억달러의 비용이 추가될 것이라고 밝히면서 향후 가이던스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다. 아마존은 주요 수익원인 클라우드 서비스 아마존웹서비스(AWS) 매출이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이 외에 마이크로소프트(2.32%), 엔비디아(2.59%), 메타(4.34%), 알파벳(구글)(1.69%), 테슬라(2.38%) 등 나머지 매그니피센트7(M7) 종목은 모두 강세로 마감했다.
넷플릭스 주가는 전날보다 2.03% 오른 1156.49달러에 마감, 사상 최고치를 썼다. 올해 1분기 실적을 발표한 지난달 17일부터 이날까지 11거래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관세 영향이 제한되는 가운데 실적이 호조세를 보인 것이 배경으로 풀이된다.
국채금리는 오름세를 보였다. 경기 동향을 잘 반영하는 10년물은 전일비 8.7bp 오른 4.316%로 마감했다. 정책금리 전망에 민감한 2년물은 12.3bp 오른 3.824%를 기록했다.
달러는 소폭 하락했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0.21% 밀린 100.03pt를 가리켰다.
국제유가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주요 산유국 간 협의체인 OPEC+의 회의를 하루 앞두고 하락했다. 6월의 생산량 정책을 결정하는 OPEC+ 회의를 앞두고 거래자들이 신중한 태도를 취했기 때문이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6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0.95달러(-1.60%) 내린 배럴당 58.29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7월물 브렌트유도 전장 대비 0.84달러(-1.35%) 떨어진 배럴당 61.29달러에 거래를 끝냈다.
유럽증시는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프랑스 파리 증시 CAC 40 지수는 전일 대비 2.33% 오른 7770.48에 거래를 마감했다. 영국 증시 FTSE 100 지수는 1.17% 뛴 8596.35에 거래를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전일대비 2.62% 늘어난 2만3086.65에 거래를 마감했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 지수는 전장 대비 2.42% 붙은 5282.19를 기록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