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비상계엄 사태로 촉발된 대통령 탄핵 및 조기대선 국면 속에 한국마사회 신임 회장 선임 움직임을 두고 우려와 반발이 확산하고 있다. 불명예스럽게 파면된 정권의 알박기 인사 시도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안팎에서 커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파면 당해 내란수괴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측근이 신임 마사회장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점은 우려와 반발을 더욱 키우고 있다.
◇ 선임 강행 움직임에 안팎에서 거센 반발
더불어민주당 ‘내란 은폐 및 알박기 인사 저지 특별위원회’는 지난 28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를 향해 한국마사회 등 공공기관 알박기 인사를 중단하라고 거듭 촉구했다.
지난 23일 출범한 내란 은폐 및 알박기 인사 저지 특위는 이튿날인 24일 기자회견을 통해 알박기 인사 중단을 촉구한 바 있다. 하지만 이후에도 한국마사회 신임 회장 알박기 인사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는 게 내란 은폐 및 알박기 인사 저지 특위의 지적이다.
내란 은폐 및 알박기 인사 저지 특위는 “지난 25일 기획재정부 소관의 공공기관운영위원회(공운위)가 한국마사회장의 최종 후보를 은밀히 의결했는데, 이는 임명권을 가진 한덕수 권한대행의 지시라고 볼 수밖에 없다”며 “남은 절차는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제청과 대통령 권한대행인 한덕수 총리의 임명이다. 국민 앞에 떳떳하지 못한 인사를 은밀하게 추진하는 것은 즉시 중단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내란 수괴의 알박기 특혜 보은 인사를 즉시 중단하고, 중단하지 않는다면 끝까지 그 책임을 묻겠다”며 “알박기 인사에 참여한 각 정부 부처의 고위공무원들에게도 법적인 책임을 반드시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마사회 내부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앞서도 신임 회장 선임에 반대의 뜻을 분명히 밝혔던 한국마사회 노조는 지난 24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마사회 회장 선임이 사실상 마무리 단계”라며 “지금은 평시가 아니다. 불과 20일 전 우리는 대통령 탄핵 선고와 파면을 목격했고, 40일 뒷면 새로운 대통령이 선출될 예정이다. 이런 시점에서의 기관장 임명은 누가 봐도 알박기 인사이며, 명백한 구태 정치의 반복”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금 회장을 임명한다면 그 누구라도 새 정부와 소통 불능 상태에 놓이게 될 것”이라며 “결과적으로 조직은 또 다시 고립되고 국민이 그 피해를 떠안게 될 것이다. 우리는 단호히 요구한다. 한국마사회 회장 알박기 인사를 즉각 중단하라. 만일, 이러한 요구를 무시하고 임명을 강행한다면 노조는 일터를 지키고 국민의 공공서비스를 보호하기 위해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윤석열 전 대통령의 측근으로 알려진 인물이 한국마사회 신임 회장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는 점은 우려와 반발을 더욱 키운다.
한국마사회 신임 회장 후보 중 하나로 알려진 김회선 전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의 대학 선배이자 검찰 선배이며, 대선 당선 당시 ‘멘토’ 역할을 한 인물 중 하나로 평가받은 바 있다. 또한 그는 윤석열 정부 초기 국정원장 후보로 거론되기도 한 인물이다.
이와 관련,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지난 23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전문성이 없는 분을 추천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전문성이 있는 분만 추천할 예정”이라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한편,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고 있는 한덕수 총리가 대선 출마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만큼, 한국마사회 회장 알박기 인사가 임박했다는 전망이 나오기도 한다. 한덕수 총리가 총리직 사퇴 및 대선 출마 선언에 앞서 임명을 단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이는 지난 25일 공운위 의결 움직임과도 맞물린다. 한덕수 총리가 대선에 출마하기 위해선 오는 5월 4일 전에 공직에서 물러나야 한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