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IP금융 앞세워 '생산적 금융 대전환' 가속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정부가 생산적 금융 대전환의 핵심 축으로 지식재산(IP) 금융을 전면에 배치했다. 인공지능(AI)·양자·바이오 등 첨단산업 성장 속도에 맞춰 기술기업 자금공급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정책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금융위원회와 지식재산처는 20일 서울 영등포구 페어몬트 앰배서더에서 '제7회 지식재산(IP) 금융포럼'을 공동 개최했다. 행사에는 신진창 금융위 사무처장, 목성호 지식재산처 차장, 은행·투자기관·보증기관·평가기관 등 약 140명이 참석했다. 

정부는 최근 AI·양자기술·바이오 등 첨단기술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기술 기반 기업의 자금조달 어려움이 산업경쟁력의 걸림돌로 부상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첨단산업 성장성과 연계된 금융 시스템 정비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생산적 금융의 대표 수단으로 IP 금융을 제시하며 공급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식재산 기반 대출·보증·투자 생태계 확대로 국내 IP 금융 잔액은 이미 10조원을 돌파했다. 

포럼에서는 기술기업 지원을 위한 IP 금융 전략이 폭넓게 논의됐다. 박용린 자본시장연구원 부원장은 기조연설에서 '생산적 금융 시대, IP 금융의 역할'을 주제로 IP 기반 자금공급의 필요성을 짚었다. 

이어진 발표에서는 지역 거점 공공기관과 협업하는 IP 투자 모델과 함께, 특허 건수 중심 공시에서 벗어나 기업의 IP 전략을 포괄하는 '한국형 IP 공시' 활성화 방안이 소개됐다. 

이는 IP의 질적 가치와 사업 연계성을 기업평가 체계 전반으로 확장해야 한다는 취지다.

신진창 금융위 사무처장은 "생산적 금융 대전환의 한 축으로 IP 금융을 강화하고 있다"며 "IP 금융이 중요한 금융시스템으로 자리 잡도록 관계기관과 협력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목성호 지식재산처 차장 역시 "지식재산 금융은 가장 생산적인 금융"이라고 강조하며 "IP 기반 투자 생태계를 확립하고 첨단산업 연계 모델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 포럼을 계기로 기술기업의 성장성을 반영하는 금융시스템 구축에 속도를 더할 계획이다. 

IP 금융 활성화를 통해 첨단산업 투자를 촉진하고, 생산적 금융 대전환을 뒷받침하는 선순환 구조를 확립한다는 목표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금융위, IP금융 앞세워 '생산적 금융 대전환' 가속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