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산림청(청장 김인호)은 생태적 건강성과 사회·문화적 기능이 우수한 도시숲 등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해 14곳을 ‘녹색도시 우수사례’로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공모는 지난 8월부터 9월까지 전국의 도시숲, 학교숲, 가로수 등 총 43건이 접수됐으며, 1차 서류심사와 도시숲 분야 전문가 심사단의 현장평가를 거쳐 최종 14곳이 선정됐다.
분야별 최우수 사례로는 △기후대응도시숲: 경북 구미 '구미국가산업단지 미세먼지 차단숲', 전북 익산 '유천생태습지', 인천 미추홀구 '인천대로 완충녹지 숲' △도시숲: 경남 김해 '진영 폐선철로 도시숲', 강원 원주 '치악산 바람길숲', 부산 남구 '황령산 생태숲' △가로수: 경북 포항 '이화숲 가로수길', 경기 평택 'NO.1 가로숲터널', 제주 제주시 '청사로 가로수' △학교숲 조성: 대구 경북여자고, 제주 안덕초, 경북 상주여자중 △학교숲 활용·사후관리: 제주 귀덕초, 경기 부천 시온고가 선정됐다.

경북 구미 '미세먼지 차단숲'은 산업단지와 주거지 사이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뛰어나고, 조성 과정에서 식재 기반과 마운딩 보완, 교목·관목 다층 구조를 조성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경남 김해 '진영 폐선철로 도시숲'은 폐선철로를 활용한 선형 녹지 네트워크 조성으로 도시바람길숲 기능을 강화했으며, 경북 포항 '이화숲 가로수길'은 연속적 녹지축과 시민 참여 프로그램 운영으로 도시 생태 네트워크 형성에 기여했다.
학교숲 분야에서는 대구 경북여자고등학교가 중정과 다양한 교목·관목 식재로 탄소흡수와 미세먼지 저감, 학생·교직원 정서 안정에 기여한 점이 인정됐다. 또한 제주 귀덕초등학교는 활용되지 않은 학교 공간을 재구성하고 유지관리 체계를 갖추어 구성원의 관심도를 높인 점에서 최우수로 선정됐다.

산림청은 2007년부터 녹색도시 우수사례 선정을 추진하며, 도시숲과 가로수가 폭염·폭우·미세먼지 등 기후재난 대응 기능을 발휘하도록 조성·관리한 사례를 선정해 시상해왔다. 김기철 산림청 도시숲경관과장은 "양질의 도시숲을 구도심 등 부족한 지역에 공급하고, 앞으로도 생태적·사회적 기능을 갖춘 도시숲을 지속적으로 우수사례로 선정하겠다"고 밝혔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