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정수미 기자] 3040세대의 당뇨병 발병이 빠르게 늘면서, 당뇨가 더 이상 노년층만의 질환이 아니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화생명이 13일 ‘세계 당뇨병의 날’을 맞아 최근 5년간 보험금 지급 데이터 36만 건을 분석한 결과, 당뇨병 발병 연령이 뚜렷하게 젊어지고 있으며 진단 이후 의료비 부담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만 해도 한화생명의 당뇨 관련 실손보험금 청구자는 50~60대가 67.4%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반면 30~40대는 27.3%에 그쳤다.
하지만 올해는 30~40대 비중이 35.4%로 급증한 반면, 50~60대는 55.5%로 줄었다. 당뇨 최초 발병 시점이 앞당겨지고 있다는 의미다.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조기 발병위험이 컸다. 남성의 30~40대 발병 비중은 5년간 30.6%에서 41.4%로 크게 늘었고, 여성은 23.3%에서 27.4%로 소폭 상승했다.

당뇨 환자는 다른 만성질환에 비해서도 합병증 위험이 전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40대 당뇨 환자의 암·뇌심혈관질환 보험금 청구 비율은 7.4%, 50대는 10.6%로 같은 연령대 고혈압 환자(각각 6.3%, 9.1%)보다 높았다.
전체 청구는 여전히 고령층이 많지만, 당뇨 환자는 40~50대부터 합병증 및 연관 질환으로 인한 보험금 청구가 빠르게 증가했다.
발병 후 2년 이내 실손보험금 지급 내역을 보면, 당뇨 환자의 1인당 평균 의료비는 약 333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혈압 환자(약 242만원) 대비 약 1.4배 많은 수치다.
전경원 한화생명 데이터통합팀장은 “당뇨는 발병 자체보다 이후 관리에 더 큰 비용과 노력이 드는 질환임이 확인됐다”며 “특히 30~40대 발병은 관리 기간이 길어 합병증 위험도 커지는 만큼 조기 진단과 생활습관 관리가 필수”라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