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권신구 기자 검찰의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와 관련해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이 결국 사의를 표했다. 자리를 지키는 것이 검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신속하게 사의를 수용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았는데, ‘윗선 개입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야권은 ‘꼬리 자르기’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13일 정치권과 법조계 등에 따르면 노 대행은 전날(12일) 사의를 표했다. 검찰이 대장동 사건 항소를 포기한 지 5일 만이다. 논란이 확산하자 노 대행은 지난 11일 연차 휴가를 내고 자택에 칩거하면서 거취를 고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 대행의 사의 표시에 대통령실은 즉각 수용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대통령실 대변인실은 전날 언론 공지를 통해 “대통령실은 법무부 장관으로부터 노 대행의 면직안이 제청되면 이를 수락한다는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진 노 대행은 그 과정에서 내부 직원들에게 용산·법무부의 관계를 고려했다는 취지로 언급한 사실이 알려지며 이번 사태의 중심에 섰다. 당장 야권은 외압을 사실로 전제하며 어느 선까지 개입이 됐는지를 밝혀야 한다고 노 대행을 압박해 왔다. 그 끝에는 대통령실이 있을 거라는 의구심도 숨기지 않고 있다.
노 대행은 사의와 관련해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진 않았지만, 전날 자택 앞에서 일부 취재진을 만나 ‘자리를 지키고 있는 것이 검찰 조직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취지로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현 정부와 검찰 조직 사이의 이견을 조율하기가 쉽지 않았다고도 토로했다. 사퇴와 관련한 자세한 입장은 퇴임식에서 전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노 대행의 사의에 대해 야권은 즉각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신동욱 국민의힘 수석최고위원은 전날 YTN 라디오 ‘김준우의 뉴스정면승부’에서 “처음부터 이런 정도의 국면으로 갈 것으로 예상했다”며 “노만석 대행에게 책임을 지우면서 사퇴를 하는 수순으로 가야지 법무부와 용산으로 가는 길이 끊어지니, 저는 그렇게 예상을 하고 있었다”고 했다.
박성훈 국민의힘 수석대변인도 전날 논평을 통해 “구체적인 진실은 밝히지 않고 물러나려는 무책임한 태도”라며 “이재명 대통령 방탄을 위한 전형적인 꼬리 자르기”라고 했다. 이어 “(노 대행은) 이번 사태 뒤에 누가 있었는지, 어떤 외압이 작용했는지 모든 진실을 명명백백 밝히기 바란다”고 했다.
한편 정성호 법무부 장관은 전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노 대행의 사의 표명에 대해 “이해할 수 없다”며 “그런 의지가 있었다면 장관 지휘를 서면으로 요구했어야 한다”고 했다. 문진석 민주당 원내운영수석부대표도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본인이 항소하지 않겠다는 소신이 있었다면 법무부 장관에게 서면으로 지휘해달라고 요구하는 게 맞는 것”이라고 했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