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리면 더 산다" 빚투 광풍에 신용대출 1주새 1조2000억↑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시중은행의 마이너스통장 등 신용대출 잔액이 단기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피가 사상 처음으로 4200선을 돌파한 뒤 개인투자자들의 '빚투(빚내서 투자)' 열기가 재점화되고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규제로 인한 신용대출까지 늘어난 영향이다.

11일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 신용대출 잔액은 이달 7일 기준 105조9137억원으로 지난달 말(104조7330억원) 대비 1조1807억원 늘었다.

불과 일주일 만에 지난달 증가폭(9251억원)을 넘어섰다. 이는 지난 2021년 7월(1조8637억원) 이후 약 4년 4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다.

종류별로 보면 마이너스통장 잔액이 1조659억원 급증, 일반신용대출이 1148억원 증가했다. 개인투자자들의 주식 매수세가 확대된 데 기인했다.

이달 초 코스피는 4200선을 돌파하면서 사상 최고치 랠리를 이어오다 기술주 과열 우려로 급락했으나 개인투자자들의 순매수세는 유지됐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 외국인이 코스피에서 7조2638억원 순매도한 반면 개인은 7조4433억원을 순매수하면서 사실상 외국인의 순매도 분량을 그대로 받아냈다.

특히 코스피가 장 중 6% 넘게 하락, 3800선까지 밀렸던 지난 5일 마이너스 통장 잔액은 하루 새 6238억원 급증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코스피가 조정받고 있으나 여전히 고점권을 유지하면서 투자 심리가 식지 않았다"며 "투자자들의 레버리지 효과를 노린 마이너스 통장 활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주담대 규제를 강화하면서 부족한 자금을 신용대출로 마련하려는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주식 투자 담보대출인 신용거래융자 잔고 역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투자자가 주식 투자를 위해 증권사로부터 보유한 주식 등을 담보로 자금을 빌린 뒤 갚지 않은 잔액을 의미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26조2165억원이다. 최근 사흘 연속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다.

다만 최근 주가가 조정 국면에 접어들면서 빚을 내 투자한 개인투자자의 손실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 금융권 전문가는 "20~30대 연령층을 중심으로 '투자하지 않으면 뒤쳐진다'는 압박 속 과도한 빚투에 뛰어든 경우가 많다"며 "자산 가격이 조정되면 재무 충격이 크고 회복 기간까지 길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외국인의 지속적인 자금 유출로 신용융자 반대매매로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도 제기됐다.

이보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올해 신용융자는 자본재와 반도체 업종에 집중돼있어 주가 하락 시 반대매매에 따른 해당 업종 가격 하락이 증폭될 우려가 있다"며 "대외 경제 여건 변화로 외국인 자금이 국내 시장에서 유출될 경우, 해당 종목 급락 위험과 신용투자로 인한 파급효과 증폭 가능성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내리면 더 산다" 빚투 광풍에 신용대출 1주새 1조2000억↑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