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해외에서 카드정보를 탈취하는 '스키밍(Skimming)' 범죄가 늘면서 RFID 차단 지갑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일부 제품은 실제 차단 기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소비자원은 온라인 유통 중인 RFID 차단 지갑 14개 제품을 대상으로 △RFID 차단 여부 △색상변화(마찰견뢰도) △유해물질 안전성 △표시사항 등을 시험·평가한 결과, 1개 제품이 표시와 달리 차단 기능이 전혀 없다고 11일 밝혔다.ㄹ
조사에 따르면 '요즘신상'의 '컴팩트 올인원 여권파우치'는 내부에 차폐 소재가 없어 카드의 RFID칩이 리더기에 그대로 인식됐다. '모락 단델2 가죽 여권용 RFID 차단 지갑'은 주요 수납 부위에서는 차단됐지만, 티켓 수납 부위에는 차폐 소재가 없어 위치별 기능 안내가 필요했다.
또한 '상현몰 협력업체'의 'RFID 차단 가죽 여권케이스'는 마찰 견뢰도가 2~3급으로 낮아 사용 중 색이 묻어날 우려가 있었다. 반면 유해물질 함유 시험에서는 전 제품이 안전기준에 적합했다.
표시사항은 대부분 미흡했다. 14개 중 13개 제품이 혼용률, 제조년월 등 표시 의무를 누락해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이 중 '요즘신상'은 판매 중지 및 환불 조치에 들어갔으며, 나머지 12개 업체는 개선을 약속했다.
소비자원은 "RFID 차단 기능이 명확히 표시된 제품을 선택하고, 부위별 차단 성능이 다를 수 있으므로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며 "가죽 재질 제품은 통풍이 잘되는 곳에 보관하고 합성가죽은 화기를 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