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이어 고려대도 집단 부정행위…비대면 평가 점검 필요

포인트경제
PC 앞에서 휴대폰을 보는 학생 / AI 생성 이미지
PC 앞에서 휴대폰을 보는 학생 / AI 생성 이미지

[포인트경제] 연세대학교 비대면 강의 시험에서 집단 부정행위가 일어나 사회적 파장이 일고 있는 가운데, 고려대학교에서도 유사한 부정행위 정황이 포착돼 논란이다. 고려대 측은 중간고사를 전면 무효화했다.

10일 고려대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온라인 교양과목 '고령사회에 대한 다학제적 이해'의 비대면 방식 중간고사에서 일부 학생이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통해 부정행위를 한 사실이 드러났다. 해당 과목은 1400명이 수강하고 있다.

다수의 제보를 접한 학교 측은 같은달 27일 '중간고사 초유의 사태 발생과 관련하여'라는 공지를 통해 이같은 사실을 알렸다. 게시글에서 학교는 명문사학에서 이같은 일이 발생한 것을 묵과할 수 없다며 중간고사를 전면 무효화를 선언하고, 이에 따라 성적 평가의 기준도 달라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학교 측은 강의퀴즈 및 기말고사에서도 정답 공유 등 부정행위가 발견되면 F처리와 함께 행정조치도 강구할 예정이다. 출결인정에 대해서도 LMS 기록만을 따르는 등 규제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연세대에서도 유사한 일이 적발된 바 있다. 지난달 29일 연세대 신촌캠퍼스의 비대면 수업 '자연어 처리와 챗GPT' 담당 교수는 학생들의 부정행위를 다수 발견했다고 공지하면서, 자수하는 학생은 중간고사만 0점 처리하고, 버티는 학생은 유기정학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600명이 수강하는 해당 수업은 지난달 15일 비대면 중간고사를 치렀다. 비대면 시험 준칙에 따라 학생들이 컴퓨터 화면과 얼굴·손이 나오는 영상을 찍었고, 담당 교수가 이 영상들을 모두 확인해 부정행위를 적발한 것이다.

담당 교수는 16명의 조교가 모든 영상을 전수 조사한 결과, 명확한 부정행위가 다수 발견돼 당황스러웠다고 전했다. 자수 기한은 지난달 31일로, 전체 파악된 부정행위자 50여 명 가운데 40명이 자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유수의 명문대학에서 잇따라 발생한 집단 부정행위 사태는 코로나19 이후 확산돼온 비대면 시험 체계의 허점을 드러내며, 대규모 온라인 시험의 관리·감독 방식 개선 필요성을 요구하고 있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연세대 이어 고려대도 집단 부정행위…비대면 평가 점검 필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